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288)
정치 사상과 철학 정치사상과 철학     1. 백범 김구의 정치사상    정치사상  백범 김구는 한 민족이 국가를 세워 국민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초가 되는 철학이 있어야 하며, 이것이 없으면, 국민의 사상이 통일되지 못하여 이 나라의 철학이 쏠리고 저 민족 철학에 끌리어, 사상과 정신의 독립을 유지하지 못한 채 남을 의뢰하고 저희끼리 추태로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오늘날의 현상은 로크(Locke)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워싱턴을 서울로 옮기는 자들이요,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모스크바를 서울로 옮기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으며, 워싱턴도 모스크바도 우리의 서울이 될 수 없는 것이며,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그것을 주장하는 자가 있다면, 일제시대의 동경을 서울로 하자는 자와 다름..
한국의 도교에 관하여! 한국의 도교(道敎)에 관하여! 1. 도교의 개념과 기원 도교는 신선 사상의 기반 위에서 자연 발생하여, 노장사상, 유교, 불교, 통속적인 여러 신앙적 요소를 수용하여 형성된 종교이다.도교는 서기전 3세기 무렵에 중국에서 신선설이 생겨났으며, 이 신설은 기원적으로 중국 고대에 있었던 산악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중국 종교의 원초적 형태인 방술이 전국시대에 민간인에게도 널리 알려졌으며, 신선설이나 방술이 백성들에게 종교적 힘을 발휘하는 방향으로 변천했다.전한 말 무렵부터 전설상의 임금인 황제가 도덕경의 저자 노자가 초인적인 존재로 여겨지고 신선으로 꼽혀 황로 신앙이 대두했으며, 방사들의 조작적인 선전과 참위설의 유행이 황로 신앙을 가열시켜 황로 신앙을 가미한 신선방술의 내용이 조정 확대되고 신흥 종교의 불..
동양의 인도주의란 무엇인가? 동양의 인도주의(人道主義)란 무엇인가? 1. 서언 인도주의는 서양적인 개념으로서 인문주의, 인간주의, 인본주의, 인도주의, 인류주의 등으로 하고 있다.역사적으로는 중세기 이래 크리스트교 문화 밑에서 자연적인 인간성의 회복 운동으로 나타난 것을 르네상스 휴머니즘(인문주의)이라고 한다.16세기 종교개혁 시대는 개신교와 초월적, 피안적인 경향의 가톨릭교와 인문주의자들과 대립을 했다. 17, 18세기 시민혁명 시대에서 합리성을 강조하는 계몽사상이 발달했으며, 19세기는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하에서 인간성을 상실하는 시대이며, 20세기는 나치스에 대한 인간성을 옹호하는 면이 나타났다.서양의 인도주의는 종교의 신중심주의로부터 인간 자신의 기본적 이권을 강조하는 인간 중심주의가 나타났으며, 반인 간 적인 정치적, 사회..
중국인과 한국인의 인본사상 중국인과 한국인의 인본사상(人本思想) 1. 중국인의 인본사상 인본사상은 인간이 우주의 주재(主宰)가 되며, 우주적 중심이 된다는 사상이다.중국 철학자들이 유가 철학을 인본사상의 핵심이라 했으며, 그 이론의 근거는 선진 유가 철학이 대표하는 것이, 인본사상의 발전이 있으며, 유교가 중국문화에 공헌한 것 의 하나가 인본 사상이다.중국의 인본사상은 주나라 초기에 이미 잉태되었다가 공자와 명자에 의하여 개척되고 순자에 이르러 더욱 성숙하게 발전되었다. 순자는 유호 편에서 “도는 하늘의 도가 아니고 땅의 도가도 아니며 사람의 도가 되는 것이다.”라고 하여 사람의 도를 천도나 지도보다는 앞세웠으며, 사람은 천지 만물의 주재요 핵심임을 밝혔다.명자 또한 천시, 지리, 인화를 동시 중요성을 말하면서, 그중에 인화가 없..
칸트의 인식론에 관하여! 칸트의 인식론에 관하여! 1. 서언 18세기 독일 철학자 칸트는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립을 해결하는 인식론의 입장을 내세웠으며, 그것은 선험적 관념론이다.근래 철학의 인식론은 데카르트에 의해 시작된 후,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립으로 전개되었다.합리론은 주권은 근본원리에서 추론하여 객관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며, 경험론의 주관은 지각 경험이 미치는 한에서만 객관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선험적 관념론은 주관에는 이미 인식 능력의 장치가 갖춰져 있어, 주관은 그것을 사용하여 감각 데이터를 가공, 구성함으로써, 객관을 인식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2. 칸트의 인식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공통의 인식 장치가 갖춰져 있으며, 이 장치는 지각 데이터를 부여하는 능력(감성), 그것을 사용하여 개념을 구성하는 능력..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의 미덕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의 미덕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은 실패해도 다시 일어서고 좌절 속에서도 버티게 하는 힘인 것이다.예를 들면, 사막을 걷는 나그네는 오아시스를 보고 지친 발걸음을 옮기는 데 찾아온 오아시스는 저만큼 물러나 다시 손짓한다는 것이다. 인산의 꿈도 신기루처럼 허망할지라도 꿈이나 목적이 없으면, 얻으려는 대상이 없어 살지 못하며, 아무런 욕망도 없다는 것이다.그러나 인간은 그 대상을 학문, 돈, 권력, 성의 추구 등을 쥐는 순간 욕망의 대상은 저만큼 물러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조금씩 상승하면서, 잃어버린 반쪽을 막상 얻고 난 후에도 욕망은 여전히 남는다면, 대상은 허상이면서, 실재처럼 보이지만, 대상이 허상이기에 욕망은 남고 욕망이 있는 한 인간은 ..
장 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에 관하여! 장 자크 루소의 인간 불평등에 관하여! 1. 서언 루소는 사회철학을 대표하는 대표적 철학자로서, 그의 저서 “사회 계약론”은 근대 철학에서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루소는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불평등하다는 것이, 자명하다고 여기는 프랑스 절대 왕정 시대에 살았다.루소는 이 세계가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보는 것보다 자연 상태를 구상하여 인간이 존재한다면, 어떤 생활을 영위할까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자연 상태의 인간은 연민의 정을 갖고 있어 평화로웠으나 인간은 자신 생존을 위하여 점차 생활의 지혜를 익히고 사유재산을 갖게 되었다.그러므로 힘이 권리와 동일시되어 강자와 약자 사이의 불평등이 법률에 의해 고정되어 버렸다고 했다. 2. 인간 불평등의 기원 루소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의 마음은 평화롭고 연민의..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란?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란? 공리주의 창시자 벤담의 철학은 칸트의 도덕론에 비해 도덕에 실질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밀은 배부른 돼지가 되는 것보다,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낫고, 배부른 바보가 되는 것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낫다고 했다.밀은 행위의 정당성은 행복을 낳는 데 있으며, 행위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그 행위가 행복인 쾌락을 낳는 데 있다고 했다. 공리주의 관점에서는 행복을 더 많이 낳을수록 그 행위는 정당하지만, 불행은 불쾌를 낳으면 낳을수록 잘못된 행복이 쾌락과 동등하다는 것이다.그러나 쾌락과 동일시할 수 없는 행복도 존재하지 않을까?쾌락을 추구하는 것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다르지 않을까? 하지만, 밀은 이런 어색한 생각은 인간이 쾌락의 본질을 제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란 무엇인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란, 무엇인가? 1. 서언 밀은 공리주의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시민사회 안에서 개인의 자유를 옹호했다.그는 행복의 조건은 단순히 자유로우면 자유로울수록 좋다고 생각하거나 개인적인 가치관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자유가 옹호되어야 한다는 원리를 주장했다.밀의 이러한 자유의 원리는 공리(행복)주의의 원리에서 자유란 무엇을 하든 괜찮다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복 추구를 방해하지 않는 한, 개인의 고유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했다.밀은 벤담과 같이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통치의 형태는 만인이 자유롭게 자기 고유의 행복을 추구하고 누리는 최대의 행복한 상태라고 했다.  모든 통치는 최대 행복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 조건을 정비하는 것이므로, 통치의 형태는 필연적으로 자유주의 체제..
세네카의 인생이 짧음에 관하여! 세네카의 인생이 짧음에 관하여! 1.서언 충실한 인생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인생은 짧은 것이, 아니라 사용 방법을 알면 길어진다는 것이다.철학의 세계에서는 시간에 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는데, 균등하며 예측할 수 있는 양의 의견과 순수한 질이라는 의견이 있다.시간을 계속 잘게 쪼개다 보면, 현재는 소멸하고 만다는 아리송한 사고방식도 있다.시간은 인간의 욕망에 따라 가치를 갖는다는 측면도 있으므로 하기 싫은 일에 소요하는 1시간과 데이터 하는 1시간을 평준화하면, 길이는 같지만, 어떻게 살고 있는가는 관점에서는 하늘고 땅 차이라는 것이다.인생 그 자체는 짧다는 생각은 틀린 것은, 인간이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짧아지기도 하고 길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그러므로 인생을 낭비하지 않고 유용하게 쓰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