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상과 철학
정치사상과 철학 1. 백범 김구의 정치사상 정치사상 백범 김구는 한 민족이 국가를 세워 국민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초가 되는 철학이 있어야 하며, 이것이 없으면, 국민의 사상이 통일되지 못하여 이 나라의 철학이 쏠리고 저 민족 철학에 끌리어, 사상과 정신의 독립을 유지하지 못한 채 남을 의뢰하고 저희끼리 추태로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오늘날의 현상은 로크(Locke)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워싱턴을 서울로 옮기는 자들이요,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모스크바를 서울로 옮기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으며, 워싱턴도 모스크바도 우리의 서울이 될 수 없는 것이며,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그것을 주장하는 자가 있다면, 일제시대의 동경을 서울로 하자는 자와 다름..
동양의 인도주의란 무엇인가?
동양의 인도주의(人道主義)란 무엇인가? 1. 서언 인도주의는 서양적인 개념으로서 인문주의, 인간주의, 인본주의, 인도주의, 인류주의 등으로 하고 있다.역사적으로는 중세기 이래 크리스트교 문화 밑에서 자연적인 인간성의 회복 운동으로 나타난 것을 르네상스 휴머니즘(인문주의)이라고 한다.16세기 종교개혁 시대는 개신교와 초월적, 피안적인 경향의 가톨릭교와 인문주의자들과 대립을 했다. 17, 18세기 시민혁명 시대에서 합리성을 강조하는 계몽사상이 발달했으며, 19세기는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하에서 인간성을 상실하는 시대이며, 20세기는 나치스에 대한 인간성을 옹호하는 면이 나타났다.서양의 인도주의는 종교의 신중심주의로부터 인간 자신의 기본적 이권을 강조하는 인간 중심주의가 나타났으며, 반인 간 적인 정치적, 사회..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의 미덕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의 미덕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은 실패해도 다시 일어서고 좌절 속에서도 버티게 하는 힘인 것이다.예를 들면, 사막을 걷는 나그네는 오아시스를 보고 지친 발걸음을 옮기는 데 찾아온 오아시스는 저만큼 물러나 다시 손짓한다는 것이다. 인산의 꿈도 신기루처럼 허망할지라도 꿈이나 목적이 없으면, 얻으려는 대상이 없어 살지 못하며, 아무런 욕망도 없다는 것이다.그러나 인간은 그 대상을 학문, 돈, 권력, 성의 추구 등을 쥐는 순간 욕망의 대상은 저만큼 물러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조금씩 상승하면서, 잃어버린 반쪽을 막상 얻고 난 후에도 욕망은 여전히 남는다면, 대상은 허상이면서, 실재처럼 보이지만, 대상이 허상이기에 욕망은 남고 욕망이 있는 한 인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