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138)
자본주의 문제 및 보수와 진보정치 자본주의 문제 및 보수와 진보 정치 1. 자본주의 문제 자본주의 국가에서 가장 좋은 정부는 나라를 잘 다스리는 정부이지만, 금융위기나, 국제수지 불균형, 자유시장의 구현 등 사회가 직면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정부가 필요한 것이다.이러한 금융위기와 국제 수지 불균형 등은 정부가 너무 간섭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자본주의 모델을 제대로 운영하여 국민 삶의 질이나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자본주의 사회의 좋은 정부인 것이다.자본주의 사회에서 금융위기에 대한 정치적 대응은 자유시장 이데올로기를 지나치게 적용하는 것보다, 경제 자유화와 세계화는 최대한 유지되면서, 혼합경제라는 자본주의 모델을 토대로 하여야 좋은 정부인 것이다.현실은 실제로 근로자, 빈곤층, 중산층 등의 생활 수준의 질이 향상되도록 자본주의를 현대화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출신과 살아온 역정이 철학적 사고의 형성에 영향이 미쳤으며, 그의 자연주의적 경향과 생물학에 대한 관심은 의사였던 그의 아버지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그의 정치적 자연주의에 기초하는 기본 테제는 이런 것이었다. 1) 인간은 자연적으로(본성적으로) 폴리스적 동물이다. 2) 폴리스는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3) 폴리스는 자연적으로 개인에 앞선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윤리학에서 변증술적 방법과 절차에서 어떤 문제를 논의하는 경우에 그 문제에 대해 앞선 철학자들이 내세운 의견을 출발점을 제시하고, 그 속에 까려 있는 난점을 지적하면서, 자신 생각을 개진해 나가는 방법을 택했다. 또한, 그가 반대하는 철학적 견해로부터도 참인 것을, 발견하려고 시도하는 태도..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정치체제의 분류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정치체제 분류 정치체제는 많은 종류가 있으며, 정치체제와 통치자 집단(정부)은 동일한 의미로서, 통치자 집단인 폴리스에서 최고의 (권한)을 갖는 한, 필연적으로 1인 혹은 소수나 다수 중 어느 하나가 최고의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최고의 권한을 갖는 1인 혹은 소수나 다수가 공통의 유익함을 목적으로 지배한다면, 그 정치 체제들은 필연적으로 올바를 수밖에 없다. 반면, 1인 혹은 소수나 다수의 사람이 사적 이득을 목적으로 지배한다면, 그 정치체제들은 벗어난 정치체제들이다. 여기서 1인 지배 정들 가운데 공동의 유익함을 고려하는 정치체제를 왕정이라 하고, 1인보다 많지만, 소수가 지배하는 정치 처제를 귀족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중이 공통의 유익함을 위해 통치하는 경우로서, 모든..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시민사회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의 시민사회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민의 정의에 있어, 폴리스는 시민들도 이루어진 어떤 종류의 집합체에서 심의나 판결에 관계되는 관직에 참여할 자격이 있는 자로서 자족적인 삶을 사는 사람을 시민이라고 했다. 이러한 시민의 자격조건을 관직에 의해 만들어진 시민이 시민의 기준이 되며, 시민의 자격은 폴리스의 권위에 의해 부여될 뿐만 아니라 관직에 참여함으로써, 자격을 부여할 권리를 소유한다는 것이다. 폴리스는 정치체제를 공유하는 시민의 사회로서, 정당하게 또는 정당하지 않게 시민이 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이 된다는 것이다. 그의 관심은 폴리스를 구성하는 개별자의 정치체제성의 문제가 아니라 폴리스의 정치 체제성의 문제라고 했으며, 정치 체제성은 개별자리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폴리..
아리스토텔스의 폴리스와 공동체 아리스토텔레스의 폴리스와 공동체 폴리스는 도시, 도시국가, 나라, 국가를 의미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도시를 의미한다고 했다. 폴리스는 기원전 8세기에서 3세기까지 헬라스 세계에 존재했던 정치적 조직 형태로, 정치적, 공동체적 의미로 파악했다. 폴리스가 공동체라는 견해는 그는 그 의미를 분명히 정한 것은, 공동의 사물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거나 공동체의 일에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거나 공동의 일을 함께 나눔이란 의를 가진다고 했다. 공동체로서의 폴리스는 공동체 내에서 서로 다른 행위를 통해 목적을 달리하는 이해 상관성을 지향하는 집단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를 통해 공동으로서, 묶이고 친애를 바탕으로 해서 정의를 묶이고 친애를 바탕으로 해서 정의를 실현하고 삶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
민주주의 정치의 공정성이란? 민주주의 정치의 공정성이란? 1. 정치의 공정성 정부의 공정성은 기업이나 강력한 기관이 자신을 스스로 보호할 수 없는 사람들을 억압하는 것을 제한 하는 법을 설계하고 그들을 보호하거나 협력에서 나온 이익을 분배할 때 작용할 수 있다. 정치의 공정성은 피통치자가 정부에 위임하기로 동의한 힘과 책임의 공정한 교환이며, 대중이 국민의 대표에게 행동의 자유를 위임한 일과 관련된 모든 것은, 신뢰로 이루어진다. 정치의 공공성은 소수 사람들이 크게 성공하면 만족할 수 없으며, 모든 사람이 공정한 몫을 가지며, 모든 사람이 같은 규칙에서 경쟁하며 경제를 회복하는 것이다. 공정성은 어떤 개인이나 단체를 통치할 때, 제한이 없거나 공동의 이익에 대한 단 하나의 정의에 따른다면, 그 정치적 통치는 불공정하다는 것이다. 정..
흑인 민군운동가(마틴 루서 킹) 흑인민권 운동가 마틴 루서 킹(Martin Luther King) 1. 생애 마틴 루서 킹, 1929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침례교회 목사의 큰아들로 태어났다. 1948년 감리교 목사로 안수를 받았으며, 1954년 앨리배아주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투쟁을 시작으로 남부 기독교 지도자협의회를 구성했다. 무저항 비폭력주의로서 흑인민권 운동의 지도자로 활약했으며, 1964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으며, 1966년 시카고를 중심으로 차별과 빈곤 타파 활동을 하던 중, 1968년 테네시주 멤피스시에서 암살됐다. 1986년 마틴 루서 킹 목사의 탄생 기념일이 1월 셋째 주 월요일이 국경일로 지정됐다. 2. 흑인 민권운동 말틴루서 킹은 20세기 가장 뛰어난 민권운동가였으며, 1963년 8월 워싱턴 행진에서 역사상 가..
자유를 향한 투쟁(Nelson Mandela) 자유를 향한 투쟁 (Nelson Mandela) 1. 생애 넬슨 만델라는 1918년 남아프리카 르란스 케이에서 태어나서, 1944년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에 들어갔다. 1962년 8월 체포될 때까지 집권당인 국민당의 아파르 헤이트 정책에 저항운동을 하다가 27년 넘게 감옥에 갇혀 있다가 1990년에 출소했다. 1993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고,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주적인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자와할랄 네 루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3년에 사망했다. 2. 자유를 향한 투쟁 1948년 남아프리카에서 백인들만의 선거에서 국민당이 승리했으며, 국민당은 새로운 제도인 “아파르 헤이트”를 창안하여 아프리카인들은 정해진 지역에서만 머물게 하는 분리된 상태를 만들었다. 아프리카인은 전용 학..
맹자의 왕도정치 맹자의 왕도정치 맹자는 기원전 372년 현재의 산동성 추현에 태어나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 밑에서 공부했다. 그는 공자의 가르침을 받들어 시대의 난제에 적용했으며, 공자처럼 왕들에게 조언하며 방랑하던 철학자였다. 그는 대학, 중용, 논어 등과 함께 유가 철학의 기본을 이루는 “사서” 가운데 하나이며, 그는 중도를 걸었으며, 고대의 관습과 중국의 전통을 옹호한 동시에 계몽적인 통치를 추구했다. 4세기 중국의 봉건제도는 행정 구역별로 분할되는 중앙집권적 정부로서, 정부의 권력이 커지면서 전쟁도 많아졌다. 은 왕조와 같은 강대국들은 “하늘의 뜻”이라고 주장하면서 세력을 넓혀 나가자 하늘의 뜻은 지배 세력이 강직하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행동해야만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더 정당화된 권력을 가..
한국 혁신정당의 근원 한국 혁신정당의 근원 한국의 혁신정당은 미 군정기에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서 당으로 발전하여 변천된 조선인민당-사회노동당-근로인민당이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당들은 계획경제 확립으로 전 민족의 완전한 해방 등을 정강. 정책으로 내세웠으나 냉전과 분단의 고정화와 여운형의 피살로 이 정당들은 분산 소멸되었다. 1955년 2월 전 진한의 중심으로 노동당이 창당되었으며, 1959년 민족주의 민주사회당으로 개칭되었다. 1956년 11월 10일 조봉암, 바기출 등이 진보당을 창당했으며, 1957년 10월 서상일 등이 민주혁신당을 창당하는 등 혁신계 정당이 뒤를 이어 창당되었다. 이들 정당은 수많은 군소정당 중의 하나로서 책임 있는 혁신정치와 계획경제 체제의 추구 등 보수 야당의 이념보다 진보적인 이념을 표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