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65)
일상을 살아가는 방식 일상을 살아가는 방식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으로 홀로 살아가지 못하고,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 어떠한 방식이든지 살아가게 된다. 누구나 실제로 생활환경에서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들을 완벽하게 생활할 수 없으므로 무력감으로 실망하거나 좌절감에서 헤어나지 못할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사회공동체 생활에서 법적통제나 규범이 사라지게 된다면, 무질서로 인한 사회공동체의 조직과 돌발 상황을 관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일상을 살아가는 방식은, 현실의 불안한 마음을 떨쳐버리고자 하는 생각으로 행동의 속도를 여유를 가지고 늦추어 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실에서 겪는 우울증이나 고통에서 벗어나서 부족한 마음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누구나 일상생활에서는 수많은 악의 그림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흐르..
공직선거 후보자의 조건에 관하여! 공직선거 후보자의 조건에 관하여! 1. 서언 정치인으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직선거의 후보자가 되어야 한다. 공직 후보자가 되기 위한 조건에 관한 생각과 고민은 떨쳐버리고 정치적 목적을 위한 행동철학을 배워야 할 것이다. 현실정치상황은 어느 하나 결정되어 확신을 주어 강력한 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없기 때문에 정치인 스스로가 정치목적의 초점을 작은 것부터 맞추어가며 확신에 찬 탁월한 생각과 판단 그리고 정치적 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 정치인의 생각은 일상생활에서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정치인의 판단능력은 분석적, 창조적, 실천적인 성공지능과 인간 친화적이고 통찰력을 가진 다중지능을 소유한 판단 능력이 있어야 한다. 정치인의 행동은 겸손과 신중하여 내면의 지혜와 지식..
포퓰리즘과 정치 포퓰리즘과 정치 1. 포퓰리즘의 정의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 포퓰리즘은 고정적인 정치기반을 넘어서 폭넓게 국민들의 지지기반을 갖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정치지도자들은 정당이나 의회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선거권자들에게 호소하거나 카리스마적인 정치형태의 수법을 사용한다. 포퓰리즘 정치가들은 지지기반 확충을 위하여 지금까지의 정치형태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여 국민들에게 폭넓게 지지계층을 확립한다.( 이러한 정치가들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정치현상이다.) 반면, 국민들이 정치변혁을 목표로 정치권력구조나 기성정치와 엘리트층을 국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국민들에게 호소하는 정치운동이다.(흔히, 외국의 경우, 국민을 선이라고 하고, 국민을 무시하는 엘리트를 악으..
언론의 자유정신이란 무엇인가? 언론의 자유정신(自由精神)이란 무엇인가? 1. 자유에 대한 관념 우리나라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규정한 것은 헌법이 자유와 평등을 보장한 것이다. 민주공화국은 국체로서 민주는 자유민주주의를 의미한 것이고, 공화는 공화정체를 의미한 것이다. 자유라는 연원(淵源)을 둔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빼고 민주주의라 함은, 자유가 없는 민주사회주의(liberal democracy) 등과 같은 이념상 전혀 다를 뿐만 아니라 혼돈될 수 있으므로 그냥 민주주의라고만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유민주주의 체제 하에 자유의 유지와 확대는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인 언론단체 등에도 자유에 대한 권리가 평등하게 보장되어야 할 헌법적 가치(value)가 존재한다. 이러한 자유에 대한 주체의 관념은 동양의 전..
제3정당출현의 필요성에 관하여! 제3 정당출현의 필요성에 관하여! 국회의원 총선에는 지역구에 정당후보자를 출마하지 않은 군소정당(群小政黨) 들이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솟아났다가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정당 명칭만 남기고 아침이슬처럼 사라졌다. 이러한 정치현상은 정당의 제도화(制度化) 수준이 너무 낮아 정치조직과 절차에 있어 가치와 안정성을 갖지 못하고 선거 때만 되면, 정치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편의주의에 따라 합종연행, 창당, 분당 등에 기인(起因) 하기 때문이다. 선진 외국의 경우만 보더라도 정당의 명칭은 100년이 넘게 지속하면서, 정당의 지도자만 바뀌는 것은 정당이 추구(追求)하는 이념과 정책의 방향이 변함이 없으므로 국민의 지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정당조직이 제도화되는 것은 듀베르제(Duverger)는 코커스(Carcus..
한국정당의 신뢰구축방안 한국정당 신뢰구축 방안 1. 한국정당의 불신요인 1) 국민여론형성에 의한 정당불신 국민으로부터 정당에 대한 불신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에서는 정당의 위기(crisis of parties)라는 국민 여론까지 형성되는 정치현실이다. 이런 연유는 정당마다 당리당략에 의하여 투쟁만을 일삼고, 국민을 위한 새로운 정책개발은 고사하고 일관된 주장을 하여, 국민들로부터 분노케 한다. 정당이란 국민의 여론을 정부기관에 연계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해야 함에도 정당 간의 권력투쟁만 하고 있어, 정당불신에 대한 국민 여론형성이 팽배한 것이다. 정당은 선거 시에만 유권자들에게 거짓공약으로 국민을 현혹시켜 당선만 되고 보자는 정치현실이 국민들은 정당에 대한 냉소주의가 팽배한 것이다. 국민은 정당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껴 정당불신에 ..
헌법개정에 관하여! . 헌법 개정에 관하여! 1. 서문(序文) 헌법의 개념은 국가와 공동체 및 공동체 구성원들의 생활의 근본과 그 질서를 형성하는 근본법(fundamental)이다. 이러한 헌법은 공동체를 존속. 유지하게 하고, 공동체 구성원에 대한 행복추구와 개개인의 개성과 자율성에 의한 자기 결정에 따라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헌법상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며, 국가의 형태, 종류, 성질, 적용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한 것이다. 헌법은 국가의 실정법 체계(헌법-법률-명령-규칙)에서 최고 법(supreme law)의 지위로서, 형식적 최고성과 가치적으로도 공동체 내에서 실질적 최고성의 지위를 차지하는 규범이며, 공동체 구성원의 합의로 나타난 법규범이다. 헌법의 특성은 법규범의 영역에서 여타의 법 규범과 구별되는 특별..
국회의원선거 중대선거구제의 필요성에 관하여! 국회의원선거 중대선구제의 필요성에 관하여! 1. 선거구제의 개념 국민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국회의원 선거구제 어떤 것인가! 선거(election)의 개념은 지역사회의 선거권자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외부의 어떠한 간섭 없이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로 올바른 후보자를 선택함으로써,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누리기를 기대하는 원초적 입장이다. 선거는 선거권자들이 후보자들 중에서 누가 더 좋으냐의 선택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선거는 후보자들에게는 불확실한 정치상황에서 이해타산에 따른 선거권자들의 선택욕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이다. 후보자들은 누구에게나 지혜롭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보자 자신이 폭력과 독재를 배격하고 법과 윤리를 지켜야 하며, 사회 각 계층의 불평등과 ..
셰익스피어 극작가 셰익스피어 극작가 셰익스피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시인, 극작가로서 튜더 왕조의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태어났다. 그는 영국의 버밍엄 근교의 스트랫퍼드어폰 에이번에서 태어났으며, 런던에서 성공한 뒤에는 고향과 그 곳에서의 추억을 무척 소중히 여겼다. 그는 18살에 앤 해서웨이와 결혼을 했지만, 그녀는 좋은 아내가 아니었으며, 셰익스피어는 고생을 많이 했다. 그는 8살의 연상인 아내와 속도위반으로 결혼을 하여 아내에 대한 불만이 많았으며 영국의 황금시대를 문화적으로 장식한 인물이다. 그는 1592년경 런던으로 진출하여 극작가의 길을 걸었으며, 1612년 은퇴할 때까지 20여 년 동안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작을 배출하였다. 그의 초기작품으로는 “헨리 6세”, “말괄량이 길들이기”,“ 리처드 3세” 등이 ..
근대철학의 거성 스피노자 근대철학의 거성 스피노자 17세기 네덜란드의 위대한 철학자인 스피노자는 유복한 유대인 상인의 자녀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다. 유대교의 종교지도자인 랍비가 되기 위해 공부를 했지만, 가업을 이을 생각에 고등교육을 받지 않았다. 그는 유대교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어 파문당하고 이 때문에 유대사회와 단절되었다. 그는 익명으로 1670년 “신학정치론”을 발표했으나, 1674년 금서로 지정 대었으며 1675년 주요 저서인 “윤리학”을 발표를 했다. 스피노자의 가장 중요한 저서는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된 윤리학”으로서 그의 사상의 정수가 담겨있으며 지금도 많은 철학자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생각이 적혀있다. 그는 윤리학에서 사물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있는데 이 근본원인을 자기 원인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