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역사

(53)
김유신 장군의 생애와 설화 김유신 장군의 생애와 설화 1. 생애 김유신은 595~673(진평왕 17~문무왕 13)년 신라 삼국통일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장군이며 대신이었다. 그의 증조부는 532(법흥왕19)년 신라에 투항한 금관가야의 구 해왕이며, 할아버지는 무력, 아버지는 서현이었다. 어머니는 만명이며, 증조부는 지증왕, 할아버지는 진흥왕의 아버지인 입종갈문왕, 아버지는 숙흘종이었다. 김유신은 595년에 출생을 하여 15세에 화랑이 되어 용화향도로 불리며 그는 낭도를 이끌었다. 그는 629년 34살에 고구려 낭비성을 공격하여 실패를 하였으나, 중당당주로 출전하여 단신으로 적진을 공격하여 신라군의 사기를 북돋워 크게 승리하는데 공을 세웠다. 그는 백제의 침공을 막기 위하여 김춘추가 고구려에 청병하려 간 642(선덕왕11)년에 앞서..
강감찬 장군의 생애와 설화 강감찬 장군의 생애와 설화 1. 생애 강감찬 장군은 948~1031년 정종과 현종 때의 고려의 명신으로서, 왕건을 도운 삼한 벽산 공신인 궁진의 아들이었으며, 983년(성종 2) 과거에 갑과 장원으로 급제한 후, 예부시랑이 되었다. 그 후, 서경유수가 되어 군사 지휘권을 행사하여 걸란 침입에 대비하던 중에 거란의 소배압이 10만 대군으로 침공하여 왔다. 그는 총사령관격인 상원수가 되어 부원수 강민첨과 함께 귀주 대첩에서 큰 승리를 했던 것은, 새끼줄로 쇠가죽을 꿰어 냇물을 막아 때를 맞추어 일시에 내려 보내서 큰 전과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 걸란 군은 대패하여 10만 대군이 전멸에 가까운 군의 생존자는 겨우 수천에 불과했으며, 이로 인하여 거란은 침약 야욕을 버리게 되어 고려와 평화적 국교가 성립되었다..
프랑스혁명 과정과 평가 프랑스혁명 과정과 평가 1970년 유럽의 지배권을 갖기 위한 영토싸움을 300년 이상 하여 왔던 두 강대국인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사이에 결혼이 이루어지는 것은, 프랑스의 왕세자 루이 16세와 오스트리아 왕가의 마리 앙투아네트와의 정략결혼이 이루어졌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완전한 프랑스인이 되기 위하여 자신이 입고 있던 옷은 물론 하인과 반려 견까지 버리고 오스트리아 공주에서 프랑스 왕세자비가 되었다. 그러나 결혼식 날 갑자기 불이 나서 인명사고가 나서 132명의 사망한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들의 오랜 적국인 오스트리아에 대한 증오가 신부에 대하여 가짜 소문이 펴져나가면서 신부를 미워하게 되었다. 이들에게는 결혼하여 7년이 지나도록 아이가 없자 모든 책임을 국민들은 신부에게 돌리게 되자 그녀는 임신 스트레스..
어머니를 죽인 로마제국 네로황제 어머니를 죽인 로마제국 네로황제 로마제국의 제5대 폭군 네로황제는 그의 어머니의 욕망에 의하여 황제의 후계자가 된 것이었다. 그의 어머니인 아그리피나는 로마의 초대황제 아우그스투스의 부관 아그리파의 손녀로서, 오빠가 제3대 황제칼리굴라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아그리피나에게 사별한 전남편사이에 태어난 외동아들로서 네로는 황실가문이지만, 황제의 직계자손이 아니므로 황제의 후계자로 위치가 어려운 위치이었다. 그렇지만, 그녀의 오빠인 제3대 황제인 칼리굴라가 죽고 제4대 클라우디우스가 황제가 되자, 법을 바꾸어 4번째의 황후로 네로의 어머니 아그리피나가 되었다. 이들은 권력을 위해 법을 바꾸어 근친혼을 강행하였으며, 4번째 황후가 된 아그리피나는 자신의 아들 네로를 황제로 만들기 위해 권력에 대한 강한 야욕을 가..
위대한 정복자 알렉산드로스 위대한 정복자 알렉산드로스 정복자 알렉산드로스는 유럽아시아, 아프리카 3대륙을 정복한 고대의 인물로서 그리스 페르시아 이집트 인도까지 정복하면서, 마케도니아의 왕, 이집트의 파라오, 페르시아의 왕이 되면서, 위대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정복의 역사는 수많은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하지만, 그 사실이 허구적인 전설이냐, 실체이냐에 대한 사실적인 편견과 평가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알렉산드로스는 아버지 필리포스 2세와 어머니 올림피아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마케도니아의 왕이었고, 어머니는 에피로스의 공주이었다. 그가 태어나기 전에 태몽은 하늘에서 번개가 치더니 그 번개가 배를 때렸으며, 불길이 온 세상으로 번져나갔다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이러한 꿈..
몽골제국의 징기스칸 몽골제국의 칭기즈칸 몽골제국은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칭기즈칸은 야만적이고 피도 눈물도 없는 잔인한 군주이었다. 칭기즈칸이 넓은 영토를 정복할 수 있었던 힘의 원천은, 그의 꿈과 야망도 있었지만, 가슴속 깊이 쌓인 원한의 복수심이었고 할 수 있다. 칭기즈칸은 1162년 몽골 초원의 보르지긴 부족의 족장 예스 게이 아버지와 후엘룬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어릴 적의 이름인 태무진을 낳기 전에 태몽을 꾸었는데, 천장으로 새어 들어온 빛이 자신의 배로 쏟아져 들어오며 세계를 지배할 아들을 낳는다는 목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몽골 제국의 역사서인 “몽골비사”에 태무진이 태어날 때 오른 손에 주사위 뼈만 한 핏덩이를 쥐고 태어났다고 했다. 그가 태어날 당시의 몽골 초원은 다양한 유목민들이 존..
불노불사에 집착한 진시황제 불로불사(不老不死)에 집착한 진시황제 기원전 221년 시황제는 38살에 중국을 통일한 혈기왕성한 젊은 나이였지만, 그 시대는 40살 전후로 하여 초로로 불리는 적합한 나이였다. 그는 중국을 통일한 후에 남은 것은 죽음뿐이라는 생각에 불로불사(不老不死)에 대한 욕망과 열정이 지나칠 만큼 집요했다. 그 당시의 인간의 수명에 관한 지식이 많은 도사라고 불리는 특수 기술자였던 방사(方士)들 중에서 서복이라는 방사가 불로불사를 실현했다 하여 시황제로부터 총애를 받았다. 서복은 시황제를 알현한 자리에서 동쪽 바다에 선인(仙人)이 사는 섬에 가면 불로불사의 영약을 가지고 올 수 있다고 하면서, 시황제의 마음 부추겨 양가집 소년과 소녀들을 3,000명이나 데리고 선인의 섬을 향해 떠났으나 한 사람도 진나라로 돌아오지 ..
윤봉길 의사는 누구인가? 윤봉길 의사(義士)는 누구인가? 윤봉길(尹奉吉) 의사는 1908년에 충청남도 예산에서 아버지 황과 어머니 김원상 사이에서 태어나서, 1918년 덕산 보통학교에 입학을 하였으나, 다음 해에 3.1 운동이 일어나자 자극을 받아 식민지 노예교육을 배격한다는 의미에서 학교를 자퇴하였다. 그는 최병대 문하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사서삼경 등 중국의 고전을 익혔으며, 1926년 서숙생활을 마치고 농민계몽운동, 독서회 운동 등 농촌 부흥을 위한 온갖 전력을 다하였다. 그는 다음해에 농촌 부흥운동에 뒷받침하기 위하여 “농민독본”을 저술하고, 야학회를 조직하여 불우한 청소년들을 가르치는데 전력을 다하였다. 그는 1929년 부흥원을 설립하여 농촌 부흥운동을 본격화하면서, “기사 일기”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부흥원에서 학예를 ..
퇴계 이황의 생애와 학파 퇴계 이황(李滉)의 생애와 학파 1. 이황의 생애 퇴계 이황은 1501(연산군 7)년에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최찬성 식(埴)의 7남 1녀 중에서 막내아들로 내어나서 1570(선조 4)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이었다. 그는 12살에 논어를 배웠고, 14세에는 도연맹의 시를 좋아했으며, 20세에는 주역을 공부하였으며, 27세에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사마시에 급제하였다. 그는 33세에 재차 성균관에 들어가 김인후를 만나 “심경부주”에 심취하였으며, 그 후, 김안국을 만나 성인군자에 관한 견문을 넓혔다. 그는 34세에 문과에 급제를 하여 숭문원부정자가 되어 관계에 들어오면서, 39세에 홍문관 수찬이 되었다가 사가독서에 임명되었다. 중종 말년에 조정이 혼란하자 낙향하여 관..
권율 장군은 누구인가? 권율 장군은 누구인가? 권율은 1537(중종 32)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영의정 권철과 어머니 창녕 조 씨이며 본관은 안동으로서, 장인은 이항복이다. 그는 1582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 원정자가 되었으며, 그는 전적 감찰 예조 좌랑 호조 정량 전라도 도사 정경 판관을 지내다가 의주목사로 발탁이 되었으나 이듬해 해직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이러나자 광주 목사에 제수되어 임지로 가서나 외병에 의하여 수도가 함락된 뒤에 전라도 순찰사 이광과 함께 4만여 명의 군사를 모집하여 중위장이 되어 서울을 수복하기 위하여 북진을 하였다. 그는 이광에게 외군과 바로 싸움을 하여 도내의 병사를 희생할 것이 아니라 임진강을 막아서 군량미를 운반할 수 있는 도로를 보장한 다음에 적군의 틈을 살피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