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28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1. 생애 조지 오웰은 1903년 인도 모티하리에서 태어나서, 서섹스 주 이스트본에 있는 학교에 다녔다. 그는 영국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후, 버마의 인도 제국군으로 받은 후, 런던과 스페인으로 가서 반프랑코 군에 합류했으나, 이 전쟁에서 부상을 당해서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인생의 대부분을 프리랜서 작가로서 저널과 신문에 서평과 칼럼, 정치평론 등을 기고하면서 살았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런던의 BBC 이스턴 서비스에서 근무하면서, 인도의 방송을 감시했다. 그는 오랫도안 공산주의, 전체주의 형태에 대해 의심해 왔으며, 1950년에 사망했다. 2. 동물농장 오웰은 “트리뷴”의 문학 편집장을 하면서, “동물농장”을 쓰기 시작했으며, 조나단 케이프 출판사와의 출판 협상이 실패..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이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랑이란? 1. 사랑의 정의 사랑은 미덕이거나 미덕을 수반하며 삶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며, 가장 폭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랑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남녀 간의 사랑이 떠오지만, 이 사랑은 그리스어로 에로스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성애 또는 성애적인 사랑이라 했다. 그는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형제간의 사랑(우애), 친구들 간의 사랑(우정), 친한 사람들 간의 사랑이라고 했다. 2. 사랑의 유형 1) 자신에게 유익하므로 사랑하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얻을 수 있는 어떤 좋은 것이 있기 때문에 사랑한다. 이는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기 때문에 사랑하고, 나이 든 사람들은 뭔가 유익하여 도움을 추구하기 위해 사랑한다는 것이다. 2) 젊은 사람들 간의..
아리스토텔렛의 미덕이란?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덕이란?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덕(아레테)은 좋음, 탁월함을 의미하며, 이는 성품과 관련해서 탁월한 것이 있고, 지적 상태와 관련해서 탁월한 것이 있다고 했다. 이러한 지적 미덕은 철학적 지혜, 명석함, 실천적 지혜이며, 후히 베푸는 것, 온화하고 절제 있는 성품의 도덕적 미덕이라고 했다. 여기서 지적 미덕은 주로 가르침으로 생기고 성장하므로 경험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도덕적 미덕은 본성적으로 생기지 않고 성품과 관련된 습관의 결과물이라고 했다. 도덕적 미덕은 즐거움 및 고통과 관련되어 있어 나쁜 일은 즐거움을 얻기 위해 하지만, 고귀한 일을 멀리하는 것은 고통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미덕은 행위 및 감정과 관련되어 있고, 모든 감정과 행위에는 즐거움이나 고통이 따른다면, 그런 이유에서 미덕..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적 정의에는 자연적 정의와 법적 정의가 있으며, 자연적 정의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든 모든 곳에 같은 효력을 지닌다고 했다. 반면, 법적 정의는 원래 어떻게 하든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이지만, 일단 정해진 수에는 차이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적 정의는 변하지 않고 어디서나 같은 효력을 지니지만, 법적 정의는 변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절대적이 그렇지 않고 부분적으로 그렇게 될 뿐이라는 것이다. 자연적 정의와 법과 규약에 따라 둘 다 변할 수 있어, 변하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이, 자연적 정의이고 어떤 것이, 법과 규약에 따른 정의인지 분명하게 구별된다는 것이다. 정의롭고 법적인 것은, 보편적인 것을 규정하며 개별 적용하는 것이며, 사람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와 불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와 불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와 불의에 관해서 어떤 행위에며, 어떤 종류의 중용이 정의로운 것이며, 어떤 것이 중간인지 고찰해야 한다고 했다. 사람들에게 정의로운 것은, 정의롭게 행하게 하고, 정의로운 것을 바라게 하는 그런 성품을 정의라고 했다. 반면, 불의한 것은, 불의하게 행하게 하고, 불의한 것을 바라게 하는 성품을 불의라고 했다. 그러므로 정의와 불의는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데서 서로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법을 어기는 사람과 공평하지 않게 행하는 사람을 불의라 하고, 법을 지키고 공평한 사랑은 정의로운 것이라고 했다. 법을 어기는 사람은 불의하고, 법을 지키는 사람은 정의로우므로 합법적인 것이 정의롭다고 했다. 이런 연유는 정의는 최고의 미덕으로 여..
손문(쑨원)의 삼민주의 손문(쑨원)의 삼민주의 1. 생애 중국의 손문(쑨원)은 1866년 광동성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서, 1892년 홍콩의학대학교에서 약학을 공부하면서, 영국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로 전향했었다. 그는 중국이 중일전쟁에서 패하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의사직을 포기했으나 반란이 실패하면서 망명 생활을 했다. 유럽을 여행하며 정치제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삼민주의를 개발했으며, 1919년 5.4운동이 일어나자 중화 혁명당을 중국 국민당으로 개조했다. 그 후, 공산당과 국공 합작하여 국민 혁명을 추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혁명은 아직 이룩되지 않았다.”는 유언을 남기고 1925년 사망했다. 2. 삼민주의 손문의 세 가지 원칙인 삼민주의는 민족주의 , 민권주의, 민생주의는 민족의 구원자가 될..
프리드히 하이에크의 자유시장경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자유시장경제 1. 서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1899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대전에 오스트리아 항 거리 제국 군에 입대하여 이탈리아 전선에서 근무했다. 빈 대학교에서 법과 정치학, 경제학, 철학, 심리학을 공부했으며, 1927년 오스트리아 경제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40년에서 1943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순수경제 이론을 연구하면서 책으로 썼다. 1950년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부임했으며, 그의 “노예의 길”은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가들의 혁명이 아닌 더 위대한 경제조직으로 가기 위한 선의의 과정을 통해서 쉽게 전체주의에 빠질 수 있다는 충격적인 주장을 했으며, 그는 1974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자유시장 경제학자가 됐다. 2. 자유주의 경제의 빛과 ..
인간의 존재와 불평등 인간의 존재와 불평등 1. 인간의 존재 루소는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가 되기 전에 어떤 자연법이 먼저 존재한다고 한 것은, 자기 생명이 위험에 처하지 않는 이상 다른 인간을 해치지 않는 지식과 이성이 발달하기 전에는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이 태생적으로 끊임없이 욕구와 탐욕, 억압, 욕망, 자부심 등 경쟁적이라고 보는 홉스의 관점과는 정반대라고 했다. 루소는 단순한 자연의 인간은 계산하지 않고 그냥 행동하며, 진정으로 고귀해지며 자연이 정해준 단순하고 바뀌지 않는 독자적인 방식을 지키면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다. 2. 인간의 불평등 사회는 사람들 사이의 자연적인 불평등 위에 세워지지 않으며, 우연히 권력을 잡은 사람이 지배할 수 있는 제도로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러한 불평등은 신체적인 관련이..
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의 “리바이어던” 1. 생애 토마스 홉스는 1588년 영국의 윌셔주 맘즈 버리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에서 보내다가 ““팰로 폰네소스 전쟁사”을 번역 출간했다. 그는 “법의 기초”를 쓴 뒤 프랑스로 망명하여 윤리와 도시 철학에 관한 책 “시민에 대하여” 출간했다. 후에 영국으로 돌아와 황태자의 가정교사를 한 후, 활발한 집필활동을 하다가 1679년 사망했다. 2.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는 인간 지식의 모든 것을 자신 탐구영역을 삼아서 철학과 수학, 탄도학, 관학, 심리학에 관한 글을 썼다. 그는 물리적 우주에 대한 갈릴레오의 신선한 지식과 이간의 몸에 대한 설면 등 새로운 “유물론”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40세에 기하학을 알게 되었으며, 그 정밀성과 확실성..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의 첫 문단에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라고 했다. 인간은 어떤 목적을 가진 집단의 일부로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지 않으면, 사라지고 만다. 이러한 인간 그 자체로 선과 악, 정의와 불의 같은 것을 의식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런 의식을 가지고 사는 인간들이 유대하면서 가족과 국가를 만들어 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관은 목적론적인 것은, 국가는 명확한 목적이나 결과를 위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그르므로 국가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윤리적이며, 국가는 인간이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번창할 수 있도록 보장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공정하게 살아갈 n 있도록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 자체는 “자연의 창조물이자 개인보다 우선시 된다.”라고 했다.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