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학사상
1. 실학사상의 생성 배경
한국의 실학사상은,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유학 운동을 말한다.
실학의 명칭을 사용했더라도 그 내용과 용법에서 다르며, 성리학도 실학이라고 칭하지만, 성리학은 노장사상과 불교사상을 비교하여 삼강오륜적인 사회윤리사상과 왕도적인 통치술을 실제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후기 실학은 성리학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실질적인 학문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표방하였다.
조선조는 16세기에서 자체 내의 모순과 폐단을 드러낸 것은, 농촌에서 부농과 빈농의 차이가 격심하였으며, 도시에서는 고리대금업이 팽창하여 빈부의 격차가 심하였다.
더욱이 권력투쟁이 치열하고 양반층이 증가하였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외침으로 인한 사회는 혼란해졌다.
따라서 사회의 전면적인 개혁이 요청되었으며, 지배층 및 성리학자들은 형이상학적 탐구나 예설의 집성과 세목화에 관심이 있었다.
결국, 주자학의 토대 위에 명분주의와 형식주의적 경향이 강하여지자 사회적, 사상적 분위기에 성리학의 비실 제적 풍토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학이라는 학문적인 흐름이 생성되었다.
2. 실학사상의 내용
실학사상은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 등의 정신이며, 그 실천을 위해 원시 유학의 현실적 태도 회복과 고증의 방법 등을 강조하였다.
실학은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는 점에서 성리 학고 구별되는 방법론적 특색의 하나이다.
실학자들은 이수광, 유형원, 박세당, 이익, 박지원, 정약용, 김정희 등이 있다.
경제지용은 이익을 대종으로 하며, 토지제도나 행정기구와 같은 제도상의 개혁에 치중하였다.
이용후생은 박지원 중심으로 주로 상품의 유통이나 생산기구의 발전 등 기술면에서 혁신을 강조하였다.
실사구시는 경서, 금석문, 전고의 고증을 김정희에 의하여 위주로 하였다.
실학의 기본정신의 하나는 박학 정신으로 백과사전적인 저술을 많이 산출하였으며 매우 복합적인 학문체계를 이루었다.
실학은 성리학을 극복하여 실제성을 추 구하기 위한 정신을 관철시키고자 사장학, 고증학, 경세학, 의리학 등 다양한 분과학을 포괄하는 복합체 구조로서 실학의 하나의 통일적 학문체계로 간주되었다.
3. 결론
실학의 세계는 근대적인 성향으로서, 사실과의 일치 여부를 중시하며, 근대 과학적이었다.
실학은 양반의 가식과 횡포를 폭로, 비판하면서, 신분차별과 직업차별을 타파하는 근대적인 인권과 평등의식이었다.
실학은 소수 양반 귀족의 사유지를 국가 공유 혹은 농민소유로 환원시켜 농민의 토탄에서 구해내려는 전제개혁이었다.
실학은 실질 내용보다 명분이나 형식을 중요시하던 성리학을 비판하고, 경험주의의 인식론과 공리주의적 사회, 윤리관을 주장하는 근대적 인간관과 자연관을 제시하는 사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