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철학사상(무속신앙)에 관하여
1. 개관
한국의 사상은 한민족이 역사적으로 형성하여 온 철학, 종교, 정치, 사회, 경제 등 포괄하는 사상으로서, 여기에서는 한국의 철학사상에서 무속신앙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9세기 말 이후, 서양철학이 전래되기까지는 철학과 종교는 엄격히 구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종교사상 중심적이었으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은 무속신앙이었다.
이 신앙은 민족의 생활 속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고유한 독자성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이런 무속신앙 터전에서 유교, 불교, 도교 등이 유입되어 전래되어, 오랜 시대에 걸쳐서 한국의 풍토에 맞게 변용, 발전되어 한국문화와 역사에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2. 무속신앙
한국의 무속신앙은 시베리아 일원에 걸쳐 펴져있는 샤머니즘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한국의 독자적 특성을 지니면서, 한민족의 사유를 이루고 원초적 잠재의식으로 신화적 내용으로 형성되었다.
한국의 신화적 대표적인 것은, 단군신화, 고주몽신화, 박혁거세 신화, 석탈해 신화, 김알지 신화, 김수로왕 신화 등이다.
이들 신화의 내용은 고대 한국의 국조들의 탄생과 건국과정의 주된 이야기라는 것이었다.
원래 샤머니즘에서는 무당이 굿을 통해 초월적 세계와 인간적 세계를 매개하여 길흉화복을 예측하고 병도 고칠 수 있다고 여겼다.
특히, 무당은 신적인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존재로 믿었으며, 고대사회에서 제사장 구실과 통치권 행사까지 주관하여 제정일치의 양생을 보여주었다.
고대의 한국인들은 천신 이외 태양신과 풍신, 우신, 운신 등을 믿었으며, 시대가 지나면서 자연신 중에서 천신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무속신앙은 원래 신성 관념과 부정 관념이 있는데, 부정 관념을 바탕으로 금기의 개념이 나타났다.(조상숭배, 팔조법)
한민족의 시조 신앙인 단군 신앙이 역사적으로 부상한 것은, 황상 민족의 위기가 닥치는 시기와 일치하였으며, 위기 때마다 부각되어 민족의 단합에 구심점이 되었다.
무속신앙을 기초로 한 제정일치의 시대는 고대 삼한이 자리 잡을 무렵에 끝나고 제정 분화의 현상이 일어났다.
정치권력을 장악한 부족장으로서의 거사와 제사장인 천군이 따로 분립되었다.
천군으로 불리던 무당은 소도라는 특정 지역을 관할하고 방울과 북을 큰 나무에 매달아 신성 구역을 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