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예술

동양화의 산수화에 관하여!

동양화의 산수화에 관하여!

정해주의 산수화

1. 산수화의 의미

 

동양화에서 산수화라면, 서양화에서는 풍경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양화의 산수화는 병풍의 장식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동양화를 대표하는 영역으로 자리를 잡았다.

산수화가 뒤늦게 등장했지만, 빛을 보게 된 연유는, 전쟁과 정치적 불안 등으로 세상이 혼란해지면서, 자연의 평화와 아름다움에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산수화의 시대적 배경은 송나라에서 이루어진 산수화의 기초로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서 약 일천 년 동안 명맥을 이어 왔다.

 

사람들이 동양화라고 하면, 가장 먼저 대표작으로 산수화가 떠오른 것은, 산과 물을 말하기 때문이다.

산수화는 산과 계곡의 물을 그린 그림을 의미 하며, 자연의 경치를 그리는 장르인 것이다.

이러한 산수화는 병풍의 장식에서 사용했으며, 나무로 된 병풍에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하기도 했으나 보통적인 장식이 산수화로 된 병풍이었다.

산수화는 난세에 숨어서 한가하게 즐기며 그림을 그리거나 좋은 시절을 만나지 못해 벼슬을 못한 문인들의 안타까운 마음을 아름다운 자연의 경치로 나타내었던 것이다.

 

2. 산수화의 시점과 표현법

 

1) 시점

 

산수화는 우뚝 솟은 산과 길을 흐르는 강의 풍광을 표현하는 다양한 시료이었다.

시점이란, 풍경을 바라보며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눈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풍경이 달라진다.

 

(1) 고원법

산 아래에서 높은 산을 올려다보는 시점으로서, 웅장한 산을 묘사하기에 좋은 방법이다.

 

(2) 심원 법

산의 앞쪽에서 뒤쪽을 굽어보는 시점으로서, 깊은 골짜기를 지닌 산을 묘사할 때 좋은 방법이다.

 

(3) 평원 법

가까운 곳에서 먼 산을 바라보는 시점으로서, 넓게 펼쳐져 있는 경치를 묘사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동양화의 산수화는 하나의 시점만으로 그림을 완성하지 않고, 화가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상적인 경치를 그리는 것이 산수화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2) 표현법

 

(1) 준법

준법은 산수화에서 산이나 바위를 묘사할 때 입체감이나 명암, 또는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일정한 붓 필을 반복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붓 질 모양이 도끼로 잘라낸 단면 같다 해서 부벽준, 베를 풀어놓은 것 같다 해서 피마준, 소의 털과 같다 해서 우모준, 빗방울 모양 같다 해서 우점준 등이다.

 

(2) 태점

산수화에서 바위나 흙, 작은 나무나 이끼를 묘사할 때 작은 점 여럿을 찍는 일을 말한다.

태점은 준법보다 늦게 시작했으며 보편적이지 않았기에 시대와 작가의 기준이 다르다고 본다.

주로 태점은 나무와 풀을 묘사한 명나라의 문인화가 심주가 즐겨서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