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예술

전기소설에 관하여!

전기소설에 관하여!

소설읽는 사람

전기소설은 실제로 생존하였던 인물의 일생을 형상화하여 구성한 소설이다.

한 인간의 일대기를 사실에 입각하여 서술하였을 때, 이것은 정기 문학이 되어 비 허구적이라는 점에서 전기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현대소설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설 주인공의 성격이나 사건을 묘사하여 입체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인간의 일생을 중심으로 평면적 구성을 하고 있는 전기소설은 유형상 특징을 인정받게 된다.

또한, 고소설의 경우는 대부분의 작품이 주인공의 일대기를 평면적으로 형식적인 구성을 하고 있어, 전기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킨다.

 

역사기술의 한 계열인 열전기록은 실제의 행적을 근거하여 진실을 기록하는 것을 삼고 있지만, 더러는 비사실적이거나 허구적인 과장표현을 하여 비화시켜 세간에 유포되기도 했다.

이러한 열전기술은 역사기록의 신빙성과 결부되어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으로 소설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했다.

예를 들면, 삼국사기, 고려사의 열전에 기술된 김유신, 강감찬의 기록에서는 사실이라고 볼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의 문집에서도 인물에 관한 전기 형식의 기록이 많이 실려 있으며, 이러한 전기기술의 기본입장에서 서술하기 때문에 진실 표현보다 허구적인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별전은 열전보다 소설 발달에 더 가까워져 있으며, 이보다 한 단계 발전한 실제로 살았던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식물 또는 무생물을 의인화하여 열전이나 별전으로 나타낸 순수 창작 구성의 전기 형태의 작품으로 나타났다.

 

정기 소설은 개인의 전기를 소설로 구성했다는 특성 때문에 실존하였던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춘향전 등은 전기소설이라고 할 수 없다.

고소설에서도 전기소설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임경업전, 김유신 전, 을지 문덕전, 강감찬 전 등 행적 중심의 작품과 과장표현 작품인 박문 수전 등과 중국 인물 대상 작품인 조자룡전, 제갈량전, 설인귀전 등이 이에 속한다.

 

전기소설과 역사소설로 분류하는 것은, 역사상의 어떤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등장시켜 활동했던 그 행적들을 나타낸 것은, 임진록은 역사소설인 반면 역사상의 사건과 관련되어 활동했던 인물의 행적에 비중을 두는 임경업전은 전기소설인 것이다.

결국, 전기소설은 대상 인물의 출중한 개인성을 부각시킨다는 의도의 작품이며, 고소설의 전기소설 중에는 조선시대 말기인 개화기에 상당량의 작품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