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에 관하여!
1. 동양화와 서양화의 구별
미술이란, 예술전체에 회화, 조각, 공예 등 여러분야가 있지만. 미술에서는 흔히, 그림에서 회화를 보통 동양화와 서양화로 나누게 된다.
서양화는 연필. 목탄, 크레용, 크레파스, 파스텔, 유화, 아크릴 같은 서양의 재료를 사용하여 천으로 만든 캔버스 같은 서양의 종이에 그리게 되면 서양화인 것이다.
반면, 동양의 종이인 화선지에 붓과 먹 같은 동양의 물감을 이용하여 그리면 동양화인 것이다.
그러나 단순환 도구와 재료의 차이가 구분의 유일한 기준이 아니며, 그리는 소재와 입체감을 기법과 전통이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동양화와 서양화의 가장 큰 차이는 한눈에 보면, 알 수 있는 것은, 재료와 도구이며, 바탕부터 다르고 붓과 물감부터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서양화의 유화는 천위에 기름에 갠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므로 동양화에서 기본적으로 쓰는 종이도 다르고 도구와 색체의 차이로 크다는 것이다.
동양화는 보통 화선지에 질긴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리며, 먹을 갈아 둥그런 붓에 찍어서 그린다.
결국,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는 기법과 시각의 차이인데, 이런 연유는 재료의 특성과 환경, 관념적인 전통이 다르며, 그림의 기법이나 관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양화에서는 선을 중심으로 다루고, 공간적인 면에서 인간의 위치를 중요시 한다.
반면, 서양화에서는 면과 색이 중심이고 공간적인 면에서는 자연공간을 그대로 재현하고자 하는 그림이다.
2. 동양화의 유례
동양화의 처음 유례는 중국 문명이 일찍부터 높은 문화수준으로 널리 퍼졌으므로 추측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중국문화로부터 빠르게 수입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은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나온 벽화나 유물에서 보면, 중국의 요소들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는 불교를 국교로 삼아서 불화가 성행했으며, 당시 송나라의 미술이 우리나라의 미술 전반이 많은 영향이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림의 화풍에서 중국 그림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당시 사람들의 그림에서 중국이 그림을 모범으로 삼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조선 후기 풍속화나 민화와 같은 독특한 장르는 중국 그림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영역이었다.
3. 동양화의 형식
1) 벽화
건물 벽에다 그림을 그리면서, 건물에 어울리는 상징성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었다.
신전벽화에서는 종교의 위엄을, 궁전벽화는 왕실의 권위를 나타내면서 벽화그림 자체로서 건물의 훌륭한 장식이 되었다.
고대에서는 무덤의 벽화뿐만 아니라 벽에 새겨진 부조가 남아 있으며, 동양에서는 벽에 석회를 발라 희게 만들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
채색은 대부분 금속에 섞여있는 광물질 성분의 물감을 사용했으며, 채색은 대부분 금속이 섞여 있는 광물질 성분의 물감을 사용하였다.
2) 두루마리 그림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비단이 종이 역할로서, 비단 40~50센티미터 정도의 폭으로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뒤 양쪽 끝에 둥근 막대로 붙여 감아서 보관을 했다.
두루마리 그림은 긴 화면에 여러 장면을 그림을 그리며, 산이나 바다 등의 다양한 풍경을 그릴 수 있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경치를 한 화폭에 그릴 수 있었으며, 나중에 비단대신에 종이 두루마리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3) 족자그림
동양화에서는 가장 익숙한 형태의 그림형식으로서, 보통 화선지에 그림을 그림 뒤, 뒷면에 종이를 덧대고 둘레는 천으로 덧댄 후에(장황) 위에 둥그런 나무를 대고 벽에 걸어두고 감상을 했었다.
두루마리는 개인용이며 족자는 걸어 둔 공간에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4) 화첩
나무에 글씨를 새겨 그 위에 잉크를 칠하고 종이에 찍는 목판 인쇄술이 나온 뒤로는 두루마리 그림은 실로 꿰어 만든 책의 형태로 바뀌어졌다.
화첩은 개인을 위한 그림책으로 그림은 책의 크기에 맞게 일관된 주제의 그림을 담을 수 있었다.
화첩은 색다른 아름다움 속에서 꽃과 새, 산수와 등 웅장한 경치대신 세밀한 부분적인 그림을 담을 수 있었다.
4. 결 론
동양화는 글 반 그림반인 작품이 많아 미술작품인지 문학작품인지 이해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그러므로 동양에서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와 글을 쓰는 도구가 같아서 뛰어난 선비들은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이다.
동양화에서도 문인이 그린 문인화는 그림을 그린 사람의 생각과 가치관이 담겨져 있었다.
예를 들면, 김홍도가 그린 많은 그림도 문인화풍의 그림이었다.
문인들의 그림이 도화서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조선 수기에는 회화의 완전한 주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