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족주의

(4)
정치 사상과 철학 정치사상과 철학     1. 백범 김구의 정치사상    정치사상  백범 김구는 한 민족이 국가를 세워 국민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초가 되는 철학이 있어야 하며, 이것이 없으면, 국민의 사상이 통일되지 못하여 이 나라의 철학이 쏠리고 저 민족 철학에 끌리어, 사상과 정신의 독립을 유지하지 못한 채 남을 의뢰하고 저희끼리 추태로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오늘날의 현상은 로크(Locke)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워싱턴을 서울로 옮기는 자들이요,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의 철학을 믿는 자들은 모스크바를 서울로 옮기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으며, 워싱턴도 모스크바도 우리의 서울이 될 수 없는 것이며,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그것을 주장하는 자가 있다면, 일제시대의 동경을 서울로 하자는 자와 다름..
손문(쑨원)의 삼민주의 손문(쑨원)의 삼민주의 1. 생애 중국의 손문(쑨원)은 1866년 광동성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서, 1892년 홍콩의학대학교에서 약학을 공부하면서, 영국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로 전향했었다. 그는 중국이 중일전쟁에서 패하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의사직을 포기했으나 반란이 실패하면서 망명 생활을 했다. 유럽을 여행하며 정치제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삼민주의를 개발했으며, 1919년 5.4운동이 일어나자 중화 혁명당을 중국 국민당으로 개조했다. 그 후, 공산당과 국공 합작하여 국민 혁명을 추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혁명은 아직 이룩되지 않았다.”는 유언을 남기고 1925년 사망했다. 2. 삼민주의 손문의 세 가지 원칙인 삼민주의는 민족주의 , 민권주의, 민생주의는 민족의 구원자가 될..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주의(nationalism)의 개념은, 하나의 민족에 귀속된다는 심리적 조건과 정치적 측면에서 한 민족이 국가를 형성하여야 한다는 이데올로기를 의미한다. 또한, 역사적 공감성과 운명공동체적인 연대의식을 갖는 집단으로서, 민족을 바탕으로 민족구성원들이 자기의식을 정치적 표현하려는 애국심을 갖는다. 이러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적 구조는 민족적 전통과 민족의 이익, 민족적 사명의 세 가지 특징이 있다. 민족주의의 연원은 17세기의 절대군주제도가 성왕한 시대로 올라가면서, 민족주의라는 표현은 프랑스혁명 이전인 중엽부터이며, 대표적인 것은 낭만주의 사조로 당시의 계몽주의, 합리주의를 반대하며 감정, 느낌, 상상력을 강조하였다. 역사적으로는 민족주의는 민주주의와는 일치하지 경우가 많으며, 일..
한국철학의 논쟁 · 한국철학의 논쟁 한국철학사를 보는 쟁점은 남한은 관념론과 북한의 유물론의 대립의 논쟁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남한의 철학사의 주된 관점은, 북한에 비하여 다양하며,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관념 체계를 철학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북한처럼 왜곡은 많지는 않지만 주로 주자학이나 불교의 관념 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므로 남한의 철학사는 형이상학적 관념체계로서의 연역적 방법으로 세계 전체를 설명하고자 하므로 일반인들에게는 이해하기 힘들고 난해할 수밖에 없었다. 주자학에서도 우주론, 인간론, 수양론, 사회 정치론 등 연역적 방법이 주로 형이상학적 원리의 설명을 하고 있다. 남한의 철학사의 변천은 관념과 개념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실증주의가 주류이며 세상을 변혁시키려는 입장이 아닌 철학으로서,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