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주의(nationalism)의 개념은, 하나의 민족에 귀속된다는 심리적 조건과 정치적 측면에서 한 민족이 국가를 형성하여야 한다는 이데올로기를 의미한다.

또한, 역사적 공감성과 운명공동체적인 연대의식을 갖는 집단으로서, 민족을 바탕으로 민족구성원들이 자기의식을 정치적 표현하려는 애국심을 갖는다. 이러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적 구조는 민족적 전통과 민족의 이익, 민족적 사명의 세 가지 특징이 있다.

 

민족주의의 연원은 17세기의 절대군주제도가 성왕한 시대로 올라가면서, 민족주의라는 표현은 프랑스혁명 이전인 중엽부터이며, 대표적인 것은 낭만주의 사조로 당시의 계몽주의, 합리주의를 반대하며 감정, 느낌, 상상력을 강조하였다.

역사적으로는 민족주의는 민주주의와는 일치하지 경우가 많으며, 일본의 군국주의, 파시즘, 제3세계 근대화의 이데올로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민족주의 특징은, 종교는 종교가 국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국가가 종교를 결정한다는 것이며, 언어는 단일 공통언어로 존재하고, 동일 인종과 경제체제 및 문화에서 생활풍습과 가치관을 공동으로 누린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족이 종교, 언어, 인종, 경제체제는 민족형성의 촉진요소이었지만 필요불가결한 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며, 민족이란 집단만 존재한다고 민족주의가 아니며, 민족이 민족의식을 갖고, 민족의 동질성을 위해 국가를 현신하려는 의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족주의 역할은 민족은 어느 집단이나 가족, 부락, 이익단체, 정당, 국제기구는 어느 국가보다 민족을 위해 충성을 강요하는 최고의 연대집단이라는 것이다.

민족의 우월감을 가지고 자국에 대한 애국심으로 타국의 문화보다 우수하다고 믿으며, 개인의 권력욕의 만족과 정당화시켜 준다는 것이다.

민족주의는 개인과 민족이라는 집단과의 동질성과 연대감을 유지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으로 만족에 대하여 보호된다는 안도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민족주의는 어떤 국가라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여, 정부가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을 취해야할 때는 국민은 민족주의 감정에 호소하게 된다.

국민이 분열되어 정치가 불안해지면, 정부는 민족주의 이름으로 국민의 단결을 호소하면서, 국민들이 유대감, 안정감, 우월감을 주어 국민의 권력욕을 만족시켜 줌으로써, 국가정책의 지지를 얻게 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

국제적으로는 민족주의는 비 공산국가에서는 국제공산주의의 위협에 민족주의가 강화되었고,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소련의 지배에 반대하는 공산주의를 민족주의화 하는 현상이 일어났었다.

민족주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독립된 민족국가 건설을 강하게 추구하고, 민족번영과 민족국가의 발전을 위하여 민족성원의 충성과 헌신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