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에 관하여!
1. 지치주의 개념
지치주의는 조선 전기의 정치가인 조광조 등의 정치사상으로서, 그 사상의 내용은 인간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이 세상은 하늘의 뜻이 펼쳐진 이상 세계가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고려말에 중국에서 수입되어 뿌리내린 성리학이 정착되면서, 나타난 한국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천인무간(天人無間)의 인간 존재를 자명한 명제로 전제했으며, 이는 하늘과 사람이 하나로 연결이 되어 있는 합일체로 보는 전제로서, 하늘의 뜻이 인간의 일과 분리되지 아니한다는 “천리 불리 인사”의 명제로 발전했다.
이것은 사람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세상이 하늘의 뜻이 실현된 이상사회가 된다는 정치적 당위성을 도출하면서, 지치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여기서 지치란, “서경” 군진 편의 지치형량 감우신명“에서 나온 것으로서, 잘 다스려진 인간세계의 향기는 신명을 감명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치주의 운동은 하늘의 뜻이 실현된 이상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하는 정치적 실천 운동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구체화되었다..
2. 조광조의 지치주의 운동
지치주의는 사회는 개인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수양에 의하여 하늘과 하나인 존재를 실천하는 개인들만으로 사회가 구성될 때 지치사회는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조광조는 개인의 내적인 수양을 강조하면서, 개인적 수양에 의하여 하늘과 하나가 됨을 목표로 하여 실천하는 사람이 유학에서의 성인이 되는 것을 구체화했다.
조광조는 당시 군주인 중종이 수양을 하면, 성인이 될 수 있어 이상 정치의 실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치주의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러한 조광조의 지치주의 운동의 이론적 근거로 왕도정치를 제시하고, 다시 왕도정치의 실천 원리로 공자의 도를 들었다.
지치주의 운동의 특징은 융평 사상으로서, 인간사회를 현재의 상태에서 평등하게 한다는 것이 아니라, 높은 상태로 끌어올려서 평등하게 한다는 사상이다.
결국, 지치주의 운동은 융평 사상과 개혁 사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정치적 실천 단계에서 실제로 융평을 이루기 위하여 법제 등 현실적 요소의 개혁을 내용으로 하는 유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3. 결론
조광조에 의해 전개된 지치주의 운동은 여러 가지 폐해를 가져온 것은, 학문적인 순일화 운동은 성리학 이외의 모든 학문에 대하여 배타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조선시대의 500년 사상계가 성리학으로 점철된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조선시대의 후기 당쟁 발달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으며, 지치 실현을 위한 법제 등 현실적 요소에 대한 개혁운동은 경시하는 풍조를 가져오는 근거가 되어 지치주의 운동은 급진적 개혁 정치의 반대 세력의 모략으로 실패했다.
그 후, 지치 운동의 계승은 이언적이 계승하였으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론적 형태로 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