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마키아벨리(Machiavelli)의 정치사상

군주론

마키아벨리(Machiavelli)의 정치사상

목차

1. 생애

2. 대표작

3. 사상

4. 국가론

 

1. 생애

마키아벨리(Machiavelli)는 1469년 5월 3일 이탈리아의 피렌체의 작은 귀족 출신으로 태어났다.

이 시대에는 중세의 세계질서는 분쇄되었고, 종교적 권력과 세속적 권력과의 동맹이 무너지고 있었다.

마키아벨리는 명문 출신이 못되었기 때문에 공적 생활에서 언제나 불리했으나, 결국 노력하여 공적 생활에 들어가서는 승진하기 시작했었다.

1494년 29세 때부터 1512년까지 도시국가의 공무에 종사했으며, 유럽외교의 실제적으로 접촉을 했었다.

그는 피렌체 공화국 최고정청 시뇨리아에 속한 4 관청의 하나인 피렌체 국민군의 조직인 서기관으로 임명되어 회교 문서의 교환과 사절 업무를 했었다.

1513년 쟌드메리치 압살 음모가 발각되어 협의를 받아서 20여 일을 동안 옥중생활을 했었다.

감옥에서 나온 그는 생활이 너무나 비참해졌으며, 가난한 마을의 초라한 집에서 그는 유명한 "군주론"을 집필했으며, 1527년 6월 22일 58세 나이로 고향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2. 대표작

1) 군주론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의 번영을 꿈꾸며 평생을 살아온 정치사상가로서, 군주론을 통하여, 현실주의 사상으로서 군주에게 권력의 획득, 유지, 확대에 필요한 조언을 제시하였다.

마키아벨리는 군주국의 유형을 세습군주국이거나 신생 군주국으로 분류했으며, 세습 군주국은 통치자가 오랫동안 같은 가문에서 내려온 것이라고 했었다.

신생국은 전적으로 새롭게 탄생한 군주국이거나 세습군주에게 정복당하여 그 일부로 새로 편입된 군주국이라고 했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유형을 신생군주국에서 성공한 군주,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된 신생 군주, 사악한 방법을 사용한 군주, 동료 시민들의 호의(favore)에 의한 군주로 분류하였다.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성품(quality)을 군주의 관후함과 인색함, 군주의 잔인함과 인자함, 사랑과 두려움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주는 경멸과 미움에 없어야 한다고 하였다.

군주의 행동을 명성을 얻기 위한 행동, 군주가 신하에게 대하는 행동, 아첨꾼에 대한 군주의 행동으로 구분했었다.

군주론은 폭군을 위한 저서로 권모술수(權謀術數)를 전파하는 저서도 아닌 귀족의 전횡 속에서 질서가 무너진 취약한 국가가 타국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집필하였다.

 

2) 전술론

국가와 주권자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군사에 관한 논리를 전개하였다.

국가가 자유 독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건에 대하여 "로마사론"에서 시론 했으며, 주권자에 관하여 군주론에서 논했다. 그러므로 군주론, 로마 사론, 전술론의 세 가지 작품은 삼위일체(三位一體)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마키아벨리는 실제적인 군사전문가는 아니었으나 국민군 조직의 실무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3. 사상

마키아벨리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은 일관된 표지(標識)는 조국, 영광, 실력이라는 덕(德)의 세 가지였다. 이 세 가지는 삼위일체의 관계라 할 수 있으나 그 핵심은 조국의 사상이었다.

그의 조국의 사상은 이탈리아의 완전한 독립, 자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주 독립적 주권국가이었다.

국가의 법은 절대적이기 때문에 도덕도, 종교도, 국가의 법과 합치 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고 했었다. 그러므로 국가의 명령은 국민이 모두 준수하여야 하며, 조국의 문예부흥시대의 민족적 주권국가의 예찬이라는 표현이었다.

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은 국가지상주의이며, 그는 정치학을 철학과 윤리학으로 분리하였으나, 정치학은 현실론으로 타락된 감이 있으며, 현실에 쏠리어 이상다운 이상을 내포하지는 않았다. 그의 이상은 공리적인 조국이라고 할 수 있었다.

4. 국가론

국가의 기원을 마키아벨리는 일지방의 원주민족이 발달하여 국가를 세우는 경우와 외래 민족에 의하여 국가를 세우는 경우로 두 가지로 보았다.

국가의 정체에 있어서는 인류를 지배했거나 지배해 온, 모든 국가와 병합 국가는 공화국이거나 군주국이라고 했었다.

정체 분류에 있어서는 군주정치, 귀족정치, 법치 민주정치와 대응하는 형태인 폭군 정치, 과두정치, 폭 민정 치로 구분했었다.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자기 민족의 역량으로 쟁취해야한다고 보면서, 국가는 국민군의 조직을 강조했었다.

국가의 주요 기초는 그 국가의 훌륭한 법률과 훌륭한 군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을 했었다.

권력과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