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지식

동학운동의 배경과 봉기

동학농민운동

동학운동의 배경과 봉기

 

1. 개념

 

동학운동은 1894(고종 31)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 등을 지도자로 도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이다.

이 운동은 처음 교조 최제우의 신원 운동을 통하여 정치운동으로 성장하여 민란과 결합한 동학운동으로 성장하여 민란과 결합한 정치운동으로 성장하여 민란과 결합한 동학농민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동학은 문제의 해결을 개인의 내면적 구제에서 구하려고 하는 종교적 성격과 국가의 보위와 농민 구제 활동을 철저히 하려는 정치운동의 성격으로서 역사적으로 전개 시켜서 나갔다.

 

2. 배경

 

동학농민운동은 전라도 고부군에서 일어난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1894210일 고부군수 조병갑의 지나친 가렴주구에 항거하는 광범한 농민층의 분노가 폭발하여 민란이 일어났다.

민란의 직접적인 원인은 만석 보의 개수 문제에 따르는 수세 징수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고부군수 조병갑은 탐관오리로서 갖가지 명목으로 수탈을 자행하여 농민에게 면세를 약속하고 황무지 개간을 허가 해주고 추수기에 강제로 수세했다.

부민을 체포하여 불효, 불목, 음행, 잡기 등 죄명을 씌워 그들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었다.

대동미를 정미로 받는 대신 돈으로 거두어 질이 나쁜 쌀을 사서 상납하고 그 차이와 농민들에게 고율의 수세를 징수하여 착복했다.

 

189312월 동학 점주 전봉준을 장두로 삼아 군수 조병갑에게 두 차례 호소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자 동지 20명과 함께 각 마을 사발통문을 작성하여 봉기를 맹약함과 동시에 도소를 정하고 4개 항을 결의했다.

1) 거부성을 격파하고 군수 조병갑을 효수

2) 군기 창과 화약점령할 것

3) 인민을 침어한 탐리를 격징할 것

4) 전주영을 함락하고 경사로 직향할 것 등이었다.

1894210일 전봉준 등은 봉기하여 고부 군아를 습격하여 불법으로 수탈한 수세미를 되찾아 농민들에게 돌려주었다.

정부에서는 전라감사 김문형의 보고에 의하여 조병갑이 죄상을 알고 체포하여 파면하고 새로 박원명을 임명하고 사태를 수습했다.

사태를 수습한 안핵사 이용태는 동학교도의 탄압 기회를 삼아 온갖 악행을 자행했다.

 

3. 동학 농민 봉기

 

18944월 전봉준 등은 동학 접주들과 함께 무장 현에 모여서 이번 거사는 탐관오리의 숙청과 보국안민에 있음을 천명하는 창의 문을 발표했다.

무장 동학 포고문은 과감히 봉기할 것을 요청하여, 10여 읍에서 호응하여 10여 일 만에 1만여 명이 동원되었다.

이때부터 동학교도와 농민과의 결합이 이루어졌고 전봉준은 동학 농민군의 지도자로 봉기에 앞장서서 각처에서 봉기한 동학 농민군을 집결시켰다.

전봉준이 동도 대장으로 추대되어 창의의 뜻을 천명하는 4개 항의 행동강령을 선포했다.

1) 사람을 죽이거나 재물을 손상하지 말 것.

2)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히 할 것.

3) 일본 오랑캐를 물리치어 성도를 밝힐 것.

4) 군사를 거느리고 입경하여 권리를 모두 죽일 것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