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역사

갑오경장(갑오개혁)이란 무엇인가?

갑오경장(갑오개혁)이란 무엇인가?

1. 갑오경장의 개념과 원인

갑오경장(갑오개혁)은 1894년(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개혁운동을 말한다.

갑오경장의 원인은 1894년 봄, 동학의 농민운동은 폐정개혁을 조건으로 전라도 일대와 전주성을 점거를 하자, 민 씨 정권이 청나라에 파병을 요청한 것이 발단이 되면서, 일본도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였다.

청일 두 나라의 군대가 아산과 인천에 주둔하고, 서울에서 일본공사의 내정개혁안을 게시하고, 일본군이 7월 23일 궁중에 난입하여 친청 민 씨 정권을 타도하고 흥선대원군을 영입하여 신정권을 수립하였다.

개혁 추진 기구는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영의정에 김홍집을 회의 총재에, 박정양, 김윤식 등 17명이 의원으로 임명되어 내정 계획을 단행하였다.

2. 개혁 운동

1) 제1차 개혁

1894년 7월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 군국기무처 주제 하에 추진하여, 약 210건의 개혁안을 제정 실시하였다.

일본은 한반도에 약 7천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이권을 확대시키고, 청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조선에서 물러나게 할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청일전쟁의 수행과정에서 조선 정부와 일반국민들의 협조가 필요하였으나, 러시아 및 영국의 무력간섭을 우려하여 친일정권에 대한 소극적인 간섭으로 끝났다.

 

군국기무처의 핵심인물들은 청나라의 사대정책에 반대하고, 서양 및 일본을 본뜨기 위한 개화 세력으로 반봉건적인 혁신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다.

제1차 개혁은 정치제도의 개편으로서, 관제는 의정부관제안과 궁내부 관제 안으로 구분되었다.

구체적 내용은 국왕의 전통적인 인사권, 재정권, 군사권을 제약하고, 궁중의 잡다한 부서 등을 궁내부 산하로 통합하여 그 권한을 축소하였다.

갑오경장

2) 제2차 개혁

1894년 12월 17일부터 1895년 7월 7일까지이며, 김홍집, 박영호의 연립내각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군국기무처의 혁신적인 개혁사업인 제1차 개혁의 수구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흥선대원군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은 고종과 명성황후를 폐하고, 그의 적손자인 이준용을 왕의에 앉히려고 음모를 꾸미면서, 도학 농민군 및 청나라 군대와 내통하여 일본군을 축출할 계획을 비밀히 추진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정부는 내무대신인 이노우에를 조선주 차 특명전권공사로 임명하여 조선의 보호국화를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이노우에는 공사로 부임한 직후에 흥선대원군을 정계에서 은퇴시키고 군국기무처를 폐지하였으며, 갑신정변을 주도했던 망명 정객 박영호와 서광범을 각각 내무대신과 법무대신으로 입각시키고, 김홍집, 박영호 연립내각을 수립하였다.

고종은 청나라와의 절연하고, 국왕의 친정과 법령의 준수, 왕비와 종친의 정치 간여 배제, 내정개혁의 실시 등을 골자로 한 “홍범 십사조”를 반포하였다.

제2차 개혁도 조선의 내각대신이 주동이 되어 개혁을 추진하였으며, 제2차 개혁 추진함에 있어, 박영호의 지나친 독주는 일본 측과 고종 그리고 명성황후의 반발로 결국 음도 불궤 죄의 협으로 일본에 제2차 망명을 하였다.

일본

3) 제3차 개혁

1895년 8월 24일부터 1896년 2월 11일까지 제3차 김홍집내각에 의하여 추진되었으나, 일본세력의 퇴조에 따라 박정양을 위시한 친미, 친로파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일본은 세력이 퇴조를 만회하기 위하여 을미사변을 일으킨 뒤, 김홍집 내각의 친일적 성격을 강화시켜 김홍집은 140여건의 법령을 의결 공포를 하였다.

그러나 을미사변의 사후처리에서 김홍집 내각의 친일적 성격과 무리한 단발령실시로 보수 유생 층과 일반 국민들의 반발로 국왕의 아관파천이 단행됨으로써, 김홍집 내각이 붕괴되었다.

3. 결 론

갑오경장은 약 19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중도에 좌절되었다.

갑오경장은 완전히 일본의 정치적 개입에 의한 타율적 개혁으로 볼 수 있고, 조선의 관료들이 주도한 자율적인 개혁으로도 볼 수 있다.

결국, 갑오경장은 실학에서부터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에 이르는 조선시대의 개혁을 요구하는 운동의 배경으로서, 본청 독립정신을 가진 친일파 관료들이 추진한 개혁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근대화의 중요한 역사적 기점이었으나 반일, 반침략을 우선시하는 국민들의 반발에 좌절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