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군란이란 무엇인가?
1. 서언
1882년(고종 19) 6월 9일 도봉소 사건이라고 불리는 한국 병들이 군료 분쟁에서 발단한 돌발적 사건으로서, 고종 친정 이후 정치세력에서 물러난 대원군이 이 사건을 이용하여 다시 집권함으로써, 정변으로 발전했다.
2. 임오군란의 배경과 원인
민 씨 척족 정권에 대한 대원군을 중심으로 한 수구파의 정쟁으로만 볼 수 없는 사건이었다.
고종은 민씨 척족 정권이 개화 정책을 추진하며, 일본과 구미 제국과의 교섭 통상관계가 이루어 짐에 따라 개화파와 수구파의 반목이 심화되고, 제도개혁에 따라 개화파가 관료에 대거 등장하자 수구파의 반발이 격화되었다.
특히, 5영을 폐지하고 무위, 장어의 22 영을 설치하고 별기군을 창설하는 등 군제개혁이 단행되자 구 55 영 소속 군영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1881년 수구파의 위정척사론과 토왜 반정 음모 사건의 계기로 민 씨 척족 정권은 대원군파와 남인 계열의 수구파에 대하여 탄압을 가함으로써, 지배계층의 분열이 심화되었다.
더욱이 민씨 척족 정권의 인사 행정의 문란, 매관매직, 관료층의 부패 및 국고의 낭비 등이 심했다.
직접적인 원인은 군제 개혁 후 구 55 영 소속 군병의 대부분 실직과 신설된 별기군의 후한 처우에 대한 불만이었다.
더욱이 구 55 영 소속의 군병들에게 13개월 군료가 지급되지 않은 데서 불만과 군료인 선혜청 당상 민경호와 전 당상인 경기 관찰사 김보현에 대한 원한 관계가 원인이 되었다.
3. 임오군란의 내용과 결과
1882년 6월 5일 도봉소에서 무위영 소속의 구 훈련도감 군병들에게 한 달분의 군료를 지급하는 데서 겨와 모래가 섞여서 나왔으며, 두 량도 반이나 모자랐다.
이를 계기로 선혜청 고직과 무위영 영관에서 시비가 격렬하면서부터 도봉소에서 난동이 벌어졌다.
이 사건의 계기로 궁중의 민경호는 주동자를 고문과 2명을 처형하자 군병들이 결집하여 6월 9일 대규모로 폭동이 일어나면서, 민경호 집을 습격하는 등 행동 방침을 대원군의 지시를 받게 되었다.
군민들은 동별영과 경기 감영의 무기고를 습격하여 포도청에 난입하여 동료를 구출하고 일본공사관을 포위하여 공격했다.
군란은 더욱 확대되어 6월 10일 영돈녕부사를 살해하고, 궐내로 난입하여 민경호와 깁보현을 살해하는 사태가 일어났으나 최고 권력자인 명성황후는 이때 피신하여 화를 면하였다.
군민들은 궁궐에 침입하게 되자 고종은 대원군의 입시를 명하여 사태 수습을 맡기게 되자, 대원군은 군란을 적절히 이용하여 재차 정권을 장악하였다.
대원군은 제일 먼저 군제개혁을 단행하여 5영의 복설과 통리기무아문의 혁파, 삼군의 복설, 척족 정권을 숙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