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사상(人本思想)이란 무엇인가?
인본사상이라는 것은, 인간이 우주의 주재(主宰)가 되며, 우주적 중심이 된다는 사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로서 유가철학이 대표하는 것이 인본사상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유교가 중국문화에 공헌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인본사상이었다.
중국의 인본사상은 주나라 초에 잉태되어 공자와 명자에 의해 개척되고 순자에 이르려 더욱 성숙 발전되었다.
순자는 인간은 천지 만물의 주재요 핵심임을 밝히고, 명자 또한 인간을 천지 가운데 핵심으로 삼았으며, 중국적 전통에서는 신본주의가 아닌 인간을 우주 중심으로 두었던 것이다.
한국 사상은 인본주의를 사상의 핵심으로 삼았으나 유교사상이 들어오고부터는 이론적 면에서나 실제적인 면에서 인본주의 중심사상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인의 마음을 가장 대표하는 단군신화에서 인본주의의 핵심을 알 수 있는 것은, 천신, 지신, 인신의 이야기에서 근본적으로 살필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대표하는 한국인의 고대 사상에서는 사람과 하늘은 기본적으로 뿌리가 같다는 천인 인본의 관념이나 성품이 같다는 천인 합덕의 사상이 지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은 고대부터 인심이 천심이라는 생각을 마음 밑바닥부터 간직하고 있어 현명한 임금은 백성의 마음을 읽으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근대의 신흥종교에서도 마음이 천지의 중심이 된다는 사고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동학교의 인내천사상 등에서 알 수 있다.
한국사상의 특색은, 인간이 근본적으로 마음을 바로 잡으면 천지의 도수도 바로잡힌다는 사상으로서 천지를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객관적인 법률이나 제도를 뜯어 고치는 것보다 마음을 바로잡는 일이 인간사회뿐만 아니라 천지에 돌아가는 운행까지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천지의 중심으로 인간이 강조되고 인간의 중심으로서 마음이 강조되는 사상이다.
그러므로 마음의 중심을 통해서 모든 이질적인 이념이나 사상 등이 하나로 수렵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인의 인본사상은 종교적인 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