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왕도사상이란 무엇인가?

왕도 사상(王道思想)이란 무엇인가?

맹자의 왕도사상

왕도 사상은, 유학의 정치사상으로서, 맹자 정치사상의 핵심인 이상적인 정치형태를 말한다.

왕도 사상은, 인간의 집단인 국가사회나 더 나아가 인류사회에 있어서 민생의 안정과 인간다운 삶의 성취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 방법은 힘과 무력에 의한 강제적 해결이 아닌 통치자의 인격과 덕의 강화력에 의한 평화적이고 순리적인 해결을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 사상이다.

명자의 왕도 정치사상의 발현은 현실정치에 대한 방안 등이 유학사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왕도 사상은, 맹자에 의하여 완성되어 유교정치 철학으로 정립된 것이지만, 요순 이래 夏, 殷, 周 3대의 지치를 계승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천명 정치를 제시한 서경의 사상과 덕치주의를 제시한 공자의 사상에 기원을 두고 현성된 사상으로서 공평무사한 중용의 정치를 의미한다.

맹자의 왕도사상은, 군주의 어진 마음이 구체적인 정치현실로 표현될 때, 바람직한 정치가 이루어진다는 주장과 함께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경제적 안정을 통한 민생의 확립이 가장 기초적인 문제라고 생각했다.

맹자는 민생안정을 위한 계책을 제시하면서, 정전법을 통한 토지제도의 정비와 무의미한 침략전쟁과 부역으로 백성이 농사지을 시간을 빼앗지 말며, 고의성이 없거나 무지에 의하여 저질러진 죄를 가볍게 처벌할 것을 말했다.

이러한 왕도정치의 구체적 실천방법은 민생의 안정을 통한 삶의 터전을 정초시 키고 인간다운 삶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특히, 군주의 수덕을 통하여 치인의 왕도정치를 구현하려는 노력은 조선조 유학자의 이상이었다.

군주의 수덕이 인간의 순수한 심성자체에서 왕도정치 실현의 가능 근거를 찾는 유학의 정치사상은 비록 현실에서 완벽하게 구현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군주의 절대적 견제 권과 술수를 위주로 하는 법가적인 통치술을 견제하고 바른 정치를 지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