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상의 변천
1. 사회사상의 개념
한국의 사회사상은 고대의 종교 사상 안에서 발전되었으며, 중세에서는 종교 사상과 철학사상의 범위에서 발전을 하였다.
조선왕조 후기에는 실학사상이 대두하면서, 독자적인 사회사상으로 발전하였으며, 사상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의 사상으로서, 1945년까지의 한민족 사회사상으로 형성과 발전을 하였다.
2. 고대의 사회사상
고조선의 사회사상의 특징은, 천신과 태양신을 숭배하고, 영혼과 조상신을 숭배하였으며, 선교사상과 초기규범사상을 들 수 있다.
고조선 사회는 자연과 태양의 위력에 감복하여 천신과 태양신을 숭배하는 사상이 형성되었다.
고조선 사회의 인간들은 육체와 영혼의 융합으로 구성되어 죽으면, 육체와 영혼이 분리되어 육체는 땅에 돌아가고 영혼은 불멸한다는 영혼 숭배 사상이 지배하였다.
조상의 영혼은 후손에게 복을 돌본다는 사상으로 형성되어 조상의 영혼을 잘 모셨으며, 또한, 고조선시대의 사회 구성원은 법규범의 사상을 갖고 있어, 통치자들에 의해 제도화되었다.
삼국시대의 고구려사회는, 상무 사상이 지배하였으며, 소년들은 경당이라는 지방학교에서 학문과 무예를 수련하다가 전쟁 시에는 전장에 나가서 용감하게 싸웠다.
백제시대는 중국과의 교류과정에서 유교사상과 음양오행사상을 받아 들어 오경박사 등 박사 제도가 있었다.
신라시대는 왕실과 귀족들이 부족적인 전통을 지닌 선교와 무격사상에 의존하다가 불교가 보급되었으나, 귀족들이 반대를 하여 실패를 하였으나,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어, 통일신라시대는 불교가 지배적인 사상이 되었다.
통일신라시기에서는 유교사상의 정치이념으로 하여 전제적 왕권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3. 중세의 사회사상
고려시대의 사회사상의 특징은, 불교사상의 지배와 유교사상이 왕성하여 성리학(주자학)이 크게 성장하였으며, 불교와 유교의 사상적 갈등이 격화되었다.
고려불교가 독자적인 사상적 특성은, 법화경을 기본 경전으로 하는 천태종이 널리 폈을 때부터이었다.
고려시대에 유교가 통치이념으로 채택되어 발달한 시기는 과거제도에서 유교 경전이 시험과목이 되어 숭유 정책이 실시함으로써, 유교는 정치사상체계도 성립되어 학문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의 유학사상의 특징은, 성리학(주자학)이 도입되어 성행한 것은, 우주의 근본원리와 인간의 심성 문제를 철학적으로 해명하려는 신유학이었다.
4. 근대의 사회사상
19세기 중엽부터 우리민족과 조선왕조 사회는 외부의 선진 자분 주의 열강 침입으로 서양문명의 도전과 하위 신분층인 농민들이 가렴주구 폐지와 양반 신분제도 폐지를 위한 체계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도전이었다.
이런 연유로 1811년 홍경래 난과 1862년 진주민란이 농민폭동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후, 1860년 영.불 동양 함대 연합군의 북경 점령사건이었으며, 19세기 중엽에 한국의 근대사상으로 위정척사 사상, 동학사상, 개화사상, 애국계몽사상 등이었다.
위의 일제강점 이후의 사상에 기원을 두고 민족주의 사상은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는 사회사상으로 되었다.
1919년 3.1운동은 민주주의 사상에 의거 전 민족적으로 봉기한 독립운동이었으며, 3.1 운동의 사상은 신분, 계급, 지역, 종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전 민족이 참여한 봉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