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예술

무용의 역사

무용(舞踊)의 역사

 

1. 서언

 

무용은 인간의 육체를 표현 매체로 삼아 사상, 감정, 감각, 정서 등을 율동적으로 표출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무용은 동기와 목적에 따라 예술, 무용, 교육무용, 유회 무용, 체육 무용 등 3분 되며, 무용의 형태와 내용, 형식,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한국무용의 역사는 생성되어 전승되어 온 무용 일체로서 한국적 미형 식을 바탕으로 현대의 창작무용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오늘날 근대 이전의 전통무용과 근대 이후 전통무용을 바탕 둔 신 무용, 서양의 기법에 바탕을 둔 현대 무용 등이 주를 이루며, 대학 교육에서 수용하는 발레 등이 있다.

 

2. 무용의 역사

 

1) 상고 시대

 

상고 시대는 부족사회를 형성하던 시대는 춤과 음악은 농사일과 관련이 된 하늘과 신에게 감사드리는 행사에서 소박한 가무 형태이었다.

농사일과 관련된 집단적 행사에서 부족민이 모여 천신을 섬기고 잔치를 벌이는 연중행사였다.

이러한 연중행사에서 가무 음주(마한), 웅산 신당(웅천)을 모시는 종교 잡회로서 신을 받드는 풍습이 있었다.

상고 시대의 무용은, 춤과 음악, 제의 등 한데 얽혀 있는 종합연출 형태로서 춤의 원초적인 시발이 되었다.

 

2) 삼국시대

 

. 고구려

고구려의 무용은 고분벽화(삼국사기) 등의 문헌에서 단편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악지에 소개된 고구려의 무용은 악기 연주자들이 반주에 맞추어 4명의 무용수가 둘씩 짝을 지어 추는 것이다.

문헌과 고분벽화로 알려진 무용의 특징은 긴소매 저고리를 입고 어깨를 으쓱이며 엉덩이를 뒤로 내민 채 춤을 추었다.

 

. 백제

 

백제의 무용은 중국과 일본의 역사 기록에서 알 수 있으며, 중국 문헌인 통전을 인용한 삼국악지에서는 무용수들은 붉은 빛깔의 긴 소매가 달린 치마저고리 입고 머리에 장보관을 쓰며 가죽신을 신고 있다.

상대극과 기악이라는 연구에 의하면 백제인 미마지가 일본에 기악무라는 한국의 양주 산대도감, 통산 탈춤과 같은 탈춤 형태로 된 춤을 일본에 전수했다고 했다.

 

. 신라

 

신라의 무용은 가야금과 노래 연주와 함께 연출된 것이, 대표적이며, 삼국사기에서는 백성들의 생활 속에서 집단적으로 가무와 무격의식과 관련된 춤 문화가 성했다.

이러한 신라의 춤 문화는 거문고와 가야금에 반주에 맞추어 춤의 형태로 집단적인 가무 형태, 백희 가무와 같은 기예의 형태, 무격 의식과 관련 된 춤의 형태였다.

통일신라의 무용은 삼국시대의 춤 문화를 계승하여 새롭게 전개되어 당나라와 교류로 인하여 다채로운 춤 문화를 형성했다.

통일신라시대는 금, , 무에 의한 연출 형태가 많았으며, 무애무, 처용무, 상염무 등 독자적인 춤이 등장하면서, 춤의 영역이 전문화되었다.

 

.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춤과 음악을 이어받았으며, 각종 백희가무의 풍습이 고려시대의 춤 문화를 형성했다.

송나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춤이 들어와 궁중을 중심으로 한 무용계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

송나라의 무용을 전해 받아 여러 가지 연향 및 팔관회, 연등회 등이 국가 의식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전래한 춤은 당악정재라 했고, 전통적인 춤을 향악정재라고 불렸다.

고려시대의 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것은, 향악정재와 당악정재, 팔관회, 연등회에서 연행된 백희가무였다.

 

. 조선시대

 

조선시대 춤 문화는 고려에서 이어진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전통과 일위무와 행사에서 연행된 자희 등이다.

조선시대는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형식에 의해 새로운 춤이 창작되고 다양하게 춤 문화가 전개되었다.

전통무용은 향악정재로서 가인 전목단, 검무, 처용무, 춘향전 등이 있고, 일무로서 현재 문묘제례 및 종묘 제례에서 춤을 추고 있으며, 범무는 불교의 종교의식으로 법고 놀이, 바라춤, 나비춤 등이 있다.

무속무용은 무속과 관련되어 전송된 춤으로써, 민간 생활 속에 민속놀이 성격을 띠고 전속되었다.

민속놀이와 관련된 춤은 강강술래, 놋다리밟기 등이 집단적인 가무 형태로 띤 것과 농악무의 형태가 있다.

조선 후기에는 전문적인 민속무용으로 살풀이, 승무, 한량무, 노장무 등이 있다.

신 무용은 현대 무용사상에 의해 시대정신과 감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무용을 추구했다.

현대 무용은 인간의 사상을 육체 운동으로 가장 솔직하고 자유롭게 표출하는 데, 그 이상을 두며, 인간의 최고 가치로 받아들이는 데 어떤 규제도 규범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현대 무용은 관복 이루부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과를 설치하여 신인들을 배출하면서, 1970년대 후반부터 직업무용단의 출현과 해외무대 진출로서 급성장했다.

 

발레는 인간 육체의 최고 아름다움을 격조 높은 조화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는 광복 후에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국립발레단의 발족으로 시작되었으나 국제적 차원까지는 미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