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형성과 변천
시조의 형성과 변천 1. 시조의 의미 우리나라는 고려 말부터 고유의 정형시로서 시조의 명칭 사용이 확실치 않으나, 영조 때에 신광수의 “관서악부”에서 문헌상 기록을 남겼다. 그 후, 이학규의 ‘감사“에서 주석으로 시조란 것은,”시절가“로 부르며, 긴 소리로 노래한다고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명칭을 단가, 시여, 신번, 장단가, 신조 등의 명칭으로 혼용되었다. 근대에 들어서 서구문학의 영향으로 문학부류로 창가, 신체시, 장시 등으로 나타내서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음악 곡조의 명칭인 시조를 문학부로 명칭으로 하였다. 현재의 시조라는 명칭은 문학적으로 시조시형의 개념으로서 음악적의로는 시조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2. 시조의 형식 문학부로서의 시조는 3장 45자 내외로 구성된 정형시로서, 시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