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예술

시조의 형성과 변천

시조의 형성과 변천

1. 시조의 의미

우리나라는 고려 말부터 고유의 정형시로서 시조의 명칭 사용이 확실치 않으나, 영조 때에 신광수의 “관서악부”에서 문헌상 기록을 남겼다.

그 후, 이학규의 ‘감사“에서 주석으로 시조란 것은,”시절가“로 부르며, 긴 소리로 노래한다고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명칭을 단가, 시여, 신번, 장단가, 신조 등의 명칭으로 혼용되었다.

근대에 들어서 서구문학의 영향으로 문학부류로 창가, 신체시, 장시 등으로 나타내서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음악 곡조의 명칭인 시조를 문학부로 명칭으로 하였다.

현재의 시조라는 명칭은 문학적으로 시조시형의 개념으로서 음악적의로는 시조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대시조

2. 시조의 형식

문학부로서의 시조는 3장 45자 내외로 구성된 정형시로서, 시조는 3항으로써, 1연을 이루며, 각 항은 4 보격으로 되어 있고, 4 보격은 다시 두 개의 숨 묶음으로 나누어져 그 중간에 사이 쉼을 넣게 된다.

각 음보는 3개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며, 그 기본형은 초장 3.4 4.4, 중장 3.4 4.4, 종장 3.5 4.3으로서, 가상적인 기준형으로 되어있다.

3. 시조의 형성과 변천

1) 고시조 형성

고려말기에서 조선 초기의 시조집 중에서 고려 충숙왕 때의 우탁, 공민왕 때의 길재, 이색, 정몽주, 조선 초기의 정도전, 변계량 등이었다.

이때는 새로운 지도이념으로 주자학의 등장과 함께 시조문학이 성리학을 신봉하는 유학자들에 의하여 성립되었다.

2) 조선전기의 형성

조선 초의 “절의가‘는 단종의 퇴위와 관련하여 사육신과 생육신들이 절개를 읊은 시조들로서, 박팽년, 성삼문, 이개 등이었다.

반면, 한가롭고 평화스러운 경치를 읊은 서경시는 새로 건국된 조선 왕조의 안정되고 기구가 정제되어 사대부들의 생활이 시조의 소재가 되었다.

3) 조선후기의 형성

조선 후기의 시조는 이원적 성격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대표적인 작가는 신흠과 윤선도이었다.

특히, 윤선도는 시조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서, “어부사시사”는 4계절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결하면서도 품위 있게 표현한 것이 뛰어났다.

기교면에서 대구법의 처리로 자연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의 전개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잘 나타내었다.

4) 평민 가객 출현

사설시조의 발달과 함께, 주동적으로 평민 가객들이 출현하였으며, 김수장의 “해동 가요”에서, 17, 18세기에서 활약한 가객의 56명 명단이 실려 있었다.

이들의 업적은 시조의 작법과 창법을 전수하고, 사설시조라는 새로운 시형을 발굴하고 발전시킨 것이었다.

이 시기의 문학과 음악은 평민 가객에 의하여 발달하였으며, 위항 문학의 성행, 가사문학의 변화, 판소리 사설의 완성 등이었다.

특히, 이들은 가단을 형성하여 시조집을 편찬하고, 시조문학의 항구적인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

시조의 창작

5) 현대시조

현대시조는 갑오경장 이전의 작품인 고시조에 대한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따른 시대적인 변화로써, 일명의 근대 시조 또는 신시조라고 한다.

근대적 감수성의 시조가 본격적으로 쓰여진, 1920년 이전의 시조를 개화기 시조라고 하고, 그 후의 시조를 현대시조 또는 근대 시조라고 한다.

개화기의 시조는 형식면이나 내용면에서 고시조와 비교하여 새로운 변화를 보여준 것은, “대한일보”, “제국신문‘, ”대한민보“, 등에 실린 ”소년“, ”청춘“ 등의 최남선과 이광수의 초기의 시조까지를 말한다.

개화기의 내용은 서구문화의 충격과 일본 침략의 저항 및 내적 모순의 비판 민족적 역량의 자각 등이었다.

현대시조는 개인적인 질서와 보편적인 질서로 상호보완적인 것으로서 안정을 얻고 새롭게 변형과 발전이 되었다.

한국시가 사상에서 오직 시조의 형식만이 시형으로서 지속적인 가치를 가지고 다양한 변화 속에서도 일관된 민족적 동일성과 깊은 연관성을 지녔다는 것이다.

현대 시조의 특징은 형식면에서는 개화기의 시조와 같은 것이며, 시조의 형태를 6구의 형식으로 분절해 놓았다.

반면, 이은상의 양장 시조는 3장에 담을 내용을 압축해서 평시조의 자수를 단축하여 30자 내외로 종장은 3.5자로 하면서 중장을 생략한 형태이다.

결국, 현대시조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보편적 질서와 개인적 질서를 상호 간에 잘 조화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사랑을 글로 담다

보편적 질서는 우리 시조의 고유하고 전적인 의미를 지닌 향수에만 집착하는 것이며, 개인적이고 자의적인 질서만 치중하게 되면, 시조의 영역에서 벗어나므로 이들 두 가지를 종합적인 현대시조로서 구성한다면, 시조로서 존재가치가 있다고 본다.

즉, 현대시조는 정형시이면서 자유시이고, 자유시이면서 정형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