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회담에 관하여!
제네바회담은 한국의 평화적인 통일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954년 4월 26일부터 6월 15일까지 유엔 참전국을 비롯한 19개국 외상들이 스위스 제네바 전 국제연맹회관에서 개최했던 국제정치회담이다.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 사이에 체결된 휴전협정에 의하여 한반도로부터 외국군 철수와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등을 토의할 고위정치 회담을 휴전 성립 후 3개월 안에 얻도록 건의 하기로 했다.
그해 8월 28일 유엔 총회는 한반도는 독립된 민주 정부를 세우는 것이 유엔의 목표임을 재확인하고 휴전협정을 승인했다.
10월 10일 판문점에서 열린 준비 회의에 미 국무성 법률고문 딘, 한국 이수영 대령, 중국 외무성의 황화, 북한 문화선전 부상 기석복 등이 대표로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본 회담의 구성국 문제를 둘러싸고 난항을 거듭했으며, 고상 측과 유엔군 측과의 참여국과 내용에서 양쪽 주장에 아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12월 12일 무기 휴회로 들어갔다.
1954년 2월 18일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등 4개국 외상들이 베를린에서 독일문제에 관한 토의를 마친 다음 아시아 문제를 다루기 위해 회의를 그해 4월 26일 제네바에서 하기로 합의했다.
제네바회담은 한국을 비롯한 유에 한국 참전국들 가운데 남아프리카 연방공화국을 뺀 15개국과 소련, 중국, 북한 등 19개국의 대표들이 참가하여 한국 문제를 토의 했다.
회의는 남북한의 선거 문제로 함의를 찾지 못했으며, 이 회의의 가장 큰 쟁점은 한국 문제를 다루는 유엔의 권위와 권능에 대하여 고산 측과 유엔 참전국 측의 기본적 태도가 서로 달랐다.
회담의 의장은 16개국 공동성명을 낭독하고 결렬의 책임이 공산측에 있음을 비난하면서 회담의 중단을 선언했다.
결국, 제네바 정치회담은 한국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실패했으나, 인도차이나 전쟁을 휴정을 결의함으로써,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7월 21일 폐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