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
병자호란은 1636년 병자년에 북방민족인 여진족이 침입한 전쟁을 말하는 것이다.
오랑캐인 여진이 침입한 연유는 조선이 명나라와는 친하게 지내면서, 후금을 배척하는 친명배금정책 때문이었다.
이러한 후금은 여진족이 나라 이름을 청으로 바꾸기 이전에 쓰던 국호였으나, 조선은 건국 당시부터 사대교린의 외교로서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받들어 섬긴다는 의미에서 명을 아버지의 나라로까지 섬기었다.
조선은 임금이 즉위하거나 세자를 책봉할 경우에는 명나라의 승인을 받았으나, 여진에 대해서는 교린이라 하여 여진족을 무시하였다.
조선의 인조가 재위하건 시대에는 여진족은 몽골까지 병합하면서 청나라로 명칭을 교체를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도 조선은 멸망직전까지 명나라의 눈치를 보느라고 청나라를 무시하였다.
더욱이 조선은 명나라에 대한 사대가 더욱 심해지자 청나라는 조선을 굴복시켜 신하로 만들겠다는 생각에서 침공을 하였다.
조선의 인조는 청나라의 공격에 저항 한 번 하지 못하고 충성을 다하겠다며 항복을 하였다.
1637년 음력 1월 30일 모래벌판 위에 황금색 천으로 지붕을 만들어 높은 단을 세웠다.
조선 인조왕은 모랫바닥에 무릎을 꿇고 청나라 예법에 따라 상배구고 두례로서, 세 번 무릎을 꿇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였다.
이처럼 조선이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완벽하게 패배한 전쟁이 1636년 병자로란이 것이다.
변자호란은 여진족이 쳐들어오자 조선은 수세에 몰리게 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한 달 반 동안 대항을 하였으나 버티지 못하고 삼전도로 나놔 역사적인 굴욕적인 패배 의식을 치렀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