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역사

명성황후에 관하여

명성황후(明成皇后)에 관하여

1. 민비의 태생

 

명성황후는 1851~1895(철종 2~고종 32)년 고종의 비로소, 흔히 민비라고 부른다.

민비의 본관은 여흥, 여성부원군 치록의 딸로서, 8살에 부모를 잃고 단신으로 성장하였으나, 흥선대원군의 부인 부대부인 민 씨의 천거로 왕비로 간택되어, 1866년(고종 3) 한 살 아래인 고종의 비로 입궁을 하였다.

민 비

2. 왕비 간택의 원인

 

외척에 의해 국정이 농단된 순조, 현조, 철종의 3대로 60여 년간 세도정치의 폐단으로 인하여 외척이 적은 민부대부인의 집안에서 간택을 하였던 것이다.

이는 왕실과 정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흥선대원군의 정략적인 계획에 의한 것이었다.

 

3. 흥선대원군간의 정치적 갈등

 

민비는 어린 시절부터 춘추(春秋)를 읽을 정도로 총명하였으며, 민비가 된 후, 수완이 능란하여 왕실 정치에 관하여 흥선대원군과 일생동안 고부간의 정치적 대립으로 갈등을 겪었다.

이러한 갈등의 연유는 궁녀 이씨에게 태어난 왕자인 완화 군에 대한 대원군의 편애와 세자 책립 공작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민비 중심의 노련세력과 남인 일부와 북인 중심으로 한 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민비는 갖은 방법으로 공작하여 대원군의 정적과 결탁하여, 최익현으로 하여금 대원군 규탄하는 상소를 올리게 하였다.

이런 상소의 계기로 흥선대원군을 하야 하게끔 하여 양주 곧은 골로 은퇴시키게 하였다.

 

4. 대원군 실각 후 민비정책

 

민비는 대원군 실각시킨 후, 민 씨 척족을 앞세워 정권을 장악하고, 고종을 움직여 근대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화 정책을 추진했다.

1882년 민비 정책에 반대한 위정척사파와 대원군 세력이 봉양미 문제로 폭동을 일으킨 구군인 세력과 쿠데타를 일으켰다.

민비는 궁중을 탈출하여 충주 목인 민응식 집에 피신해서 비밀히 국왕과 연락하고, 청국에 군사개입을 요청을 했다.

청국 군이 출동하여 일시에 정권을 장악한 흥선대원군을 청국으로 납치하고, 다시 민비 세력이 집권하도록 암약을 했다.

민비는 이때부터 친 청사대로 흐르게 되자 개화파의 불만을 사게 되어, 1884(고종 21)년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의 갑신정변이 일어났다.

잠시 동안 개화당 정부로부터 정권을 빼앗겼으나 곧 청국 세력으로 인하여 다시 정권을 되찾아 장악함으로써, 갑신정변은 삼일천하로 끝이 나고 말았다.

 

5. 갑신정변 후 대외 정책

 

민비는 갑신정변 후, 왕궁에서 외교적 국면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정치적 응력을 발휘하였다.

1885년 거문도 사건이 일어나자 묄렌도르프를 일본에 파견하여 영국과 사태를 수습하였으며, 러시아와도 접촉하면서, 청국과도 유연성을 발휘하여 상호 간의 유지 관계를 맺어 왔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일본의 침략세력은 갑오경장을 간여하면서,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민비 세력을 제거하는 공작을 펼치었다.

민비는 침략적인 야심을 간파하고 개화 세력에 대항하였으나,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정계에 적극적인 압력을 가했다.

민비는 정치적으로 불리해지자 친러 정책을 내세워 일본세력에 적극적인 대항을 하였다.

흥선대원군

6. 민비의 최후

 

조선 정계가 친러 경향으로 굳어지자 일본 미우라 공사는 일본의 한반도 침략정책에 정면 대결하는 민비나 척족 및 친러 세력을 타계하고자 계획을 짰다.

1895년 8월 일부 친일 정객과 일본 군대 및 정치 낭인들이 흥선대원군을 내세워 왕궁을 습격하여 민비를 시해하였다.

을미사변으로 일본은 정권을 탈취한 만행을 저질렀으며, 민비는 45살에 살해되어 시체가 불살라지는 불행한 최후를 맞이하였다.

 

이때 정부는 친일 정책을 펴서 폐비 조칙을 내렸으나, 10월 10일 복위되어 태원전에 빈 전을 설치하고 숭릉 우강에 능호를 숭릉이라 하여 국장을 했다.

1897년 명성황후로 주책 되고 난 후, 11 월 양주 청장산에 국장되어 홍릉이라 하였으며, 1919년 고종이 둑은 후, 2 얼에 현재의 위치인 미금시에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