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Leader)의 성공 조건은 무엇인가?
조직의 리더로서 성공조건은 무엇인가?
어떠한 조직이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다스리지 못하여 리더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모르는 자신을 안다는 것은, 지혜롭고 깨달은 사람으로서 자신의 행위에 대해 관찰하는 눈으로 보게 되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알게 되어 올바른 언행을 함으로써, 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 존경심에서 추앙하게 된다는 것이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은 고대 델포이에 있는 아폴로 신전 위에 새겨진 말이다.
이는 자신의 인식은 실수로부터 배우고 지속적으로 성숙하게 하며, 발전의 변화를 만드는 지혜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을 찾는 탐구가 곧 지혜라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가늠해가는 과정이며, 자신의 강점과 약점, 긍정적인 부분과 어두운 부분 및 진실이 무엇인지 거짓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한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인간은 알기 위한 본능이 있지만, 자기 자신의 인식을 가로막는 주된 장벽은 안 좋은 것을 직면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미리 거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장을 막는 자기 인식을 과감하게 변화와 개선을 위한 기회로 삼는 것이 성공의 조건인 것이다.
리더의 인식이라는 것은, 단순히 자기를 안다는 것을 넘어서 더 큰 의미로 조직의 변화를 위해 지향하는 목표를 추구하고 자신의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한다.
디지털 시대의 리더는 자신의 동기를 성찰할 시간을 앗아가고 매일매일 일어나는 사건을 처리하기가 바쁘게 현 상태를 유지해야겠다는 인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리더는 자신의 적절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하여 조직 구성원에 대한 강력한 리더십으로 의사결정을 하여 조직과 구성원이 진정으로 만족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의 자만심인 오만은 조직구성원의 마음을 알지 못하므로 조직 전체가 나쁜 방향으로 흘려가도 진실을 말하는 사람이 없어 결국 조직의 심각한 위기에 놓이게 되어 조직은 파산하게 된다는 것이다.
리더의 이러한 오만함은 극단적인 자기도취적 행태로서 개인적인 만족과 자기 중심주의에서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로서 조직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리더의 오만함은 자신과 조직원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조직원의 필요와 욕구를 공감할 수 없게 되어 갈등을 피할 수 없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리더는 겸양의 미덕을 갖추고 조직원의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확한 의사결정으로 견제와 균형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리더의 성공 조건인 것이다.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이 하고 싶어 하는 습관을 계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사기를 앙양시켜주어야 한다.
결국, 오늘날의 리더의 성공조건은, 조직 구성원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므로 이러한 협력은 동기를 부여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킬 때 이루어진 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리더의 성공조건은, 리더의 기술과 최선을 다하여 조직의 조화와 협동을 추구하여 진정성 있고 활력이 넘치는 조직을 만드는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