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의 개화사상
조선왕조 말기(1853~1860)의 개화사상은 자주 근대화, 변혁, 진보의 사상을 말한다.
이러한 개화사상은 19세기 중엽의 민족적 위기를 당하여 나라와 백성을 자주적으로 근대화하고, 변혁해서 진보한다는 의미이었다.
우리나라의 개화사상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계승하고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신서 등으로 오경식, 박규수 등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오경석은 개화사상의 최초의 선구자의 역할을 하였다.
오경석은 북경에서 동남지방출신의 애국청년들과 널리 교제하면서, 자기의 견문을 넓히었으며, 서양의 문물과 제도를 연구하고, 서양세력의 침입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중국의 새로운 신서들을 구입하여 왔다.
그는 1853년 이후 13번이나 북경에 다니면서, 해국 도지, 영환 지략, 박물 신편, 질의문답, 중서 견문록 등 신서를 구입하였다.
그는 박제가의 실학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면서, 자신이 구입한 신서들을 연구하여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개화사상이 형성하게 하였다.
그는 1860년 자신뿐만 아니라 영.불 연합군의 북경 점령사건의 충격을 받은 이후에는 친구 유흥기에게 신서를 주어 연구하도록 하였다.
1866년 오경석과 유흥기는 제너럴 셔만호 사건과 병인양요의 충격으로 조선의 민족적 위기가 온 것을 판단하고, 나라를 구할 수 있는 혁신정치의 주체세력 형성에 노력을 다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북촌의 양반자녀들을 선발하여 개화사상을 교육시키고 발전시켜 정치세력으로 형성시켜나갔다.
이러한 개화사상의 요점은, 조선왕국의 사회와 민족이 서양세력의 침입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정치의 부패와 사회와 경제의 낙후되어 있는 민족 대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국정전반에 걸친 일대 혁신이었다.
이러한 혁신은 자주독립적으로 중국에 의뢰하지 않고, 새로운 혁신적 정치세력을 형성하여 근대국가를 수립하여, 서양과 같이 공장과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방책으로 선진과학기술을 도입하여 부강한 나라가 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또한, 양반 신분제도를 폐지하여 능력 있는 인재를 관직에 채용하고, 군함을 구비하여 국방을 근대적인 자주국방으로 나라를 방위하고, 쇄국정책을 탈피하여 세계 각 국가와 통상하여 선진문물을 교류함으로써, 균형무역으로 국가경제를 부강시키는 개화사상이었다.
초기의 개화사상의 특징은, 정치적으로 서양의 입헌군주제와 공화제를 “군민 통치”와 “합 중공화”라는 특성이 있었으며, 조선왕조의 경우에는 전제 군주제를 개혁하여 입헌군주제를 수립할 것을 추구하였다.
또한, 초기 개화사상은 국가와 국권의 근대적 개념을 확립하고, “완전자주 독립”의 절대적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국가의 국권의 내용은, 자보권, 독립권, 호산권, 입법권, 통상권, 강화 및 결약권, 중립권 등으로서, 초기의 개화사상은 매우 근대적인 국가와 국권의 개념을 정립하여 근대국가건설을 추구하였다.
특히, 초기개화사상은 사회 신분제도의 완전한 폐지를 함으로써, 양반이 백성의 재화와 자본을 약탈하지 못하도록 하여 국력의 쇠퇴를 막아 나라의 발전을 기여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근대적 산업경제건설을 위하여 서양 제국처럼 회사 제도를 도입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주장을 강조하였다.
이 외에도 자본주의 산업경제 건설을 할러는 사상과 신식학교를 설립하여 국민들에게 신지식과 과학기술교육을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개화사상의 본질적인 성격은 자주 부강한 근대 국민의 국가건설을 추구한 사상이 그 핵심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