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지식

동양인과 서양인의 개념 차이

동양인과 서양인의 개념 차이

 

인간은 누구나 지각, 기억, 분석, 추론 등의 사고 과정 자체는 사고의 내용과는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양인과 서양인은 사회구조와 개념의 차이는 사고 과정과 내용에서 보는 차이와 일치한다.

동양 사회는 집합주의적이고 의존적으로 세상을 보다 넓게 종합적으로 보는 시각으로서 어떤 사건이든지 복잡하게 본다는 것이다.

 

서양 사회는 개인주의적이고 독립적으로 개별사물을 전체 맥락에서 떼어내어 분석하며 사물들을 다스리거나 공통의 규칙으로 사물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동양인은 중국, 한국, 일본을 칭하는 것이며, 서양인은 유럽 문화권의 미국 내의 백인, 흑인, 라틴아메리카계를 말한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자기 개념(Self-Concept)에 있어서 동양인은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적 맥락을 동원하여 사회적 역할에 대해 언급한다.

 

반면, 서양인은 자신 행동에 대해 말하면서, 자기의 특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양과 서양의 자기 개념 차이나 자신을 얼마나 독특한 존재로 보는가 하는 데서 차이가 있다.

결국, 동양인은 상호의 의존성이 있는 공동사회에서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를 기초로 하며 상호 간의 의무와 일체감에 근거를 하고 있다.

 

, 가족이나 교회 공동체, 집단 등의 사회관계 속에서 서로 애정과 빈번한 접촉, 공동, 경험, 공유된 소유 등 공동사회의 밑받침되는 집합주의 사회가 된다.

반면, 서양인은 이익사회에서 어떤 목적을 염두에 두고 수단으로써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 사회에서는 재화와 노동의 교류로서 협상과 계약이 사회 운영의 주요한 원리가 되어 개인의 이익 추구와 경쟁하는 개인주의 사회가 된다.

 

결론적으로 동양인의 집단과의 조화로움을 추구하거나 개인의 독특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집합적 행위에 대한 선호나 개인적 행위에 대한 자유 선호는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그 정도는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사회가 어는 사항에서 독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다른 사항에서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시간 인기글4월 11일 (금) 08시 41분 41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