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상

교육사상의 시대적 변천

교육사상의 시대적 변천

교육사상이란, 교육 현상에 관한 통합적이고, 일관된 사고의 체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사상은 각 문화권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표상하며, 역사적으로 어떤 인간상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시사해 준다.

교육사상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탐색되면서, 서양교육사상과 동양 교육사상의 상호 비교하여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교, 불교, 동학, 무속 등 사상의 변천과정에서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변모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사상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변천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1. 고대의 교육사상

고대의 교육사상은 풍류도로 집약될 수 있으며, 한편, 외래의 사상으로 유교 및 불교의 영향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무교사상은 정신사적 의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지적되는데, 생식, 생산적이라는 기능적 측면과 심리적 요소로서 정적이고 율동적인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측면이다.

우리나라의 단군신화 및 건국설화에서 교육사상의 핵심은 “한”의 사상, “하느님”의 관념과 홍익인간 이념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고대사회의 교육은 상류계급의 자제에게 한정되어 있으며, 교육의 기회는 주로 지배계급에게만 열려 있어, 고대의 교육적 인간상을 귀족적 인간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한국인상의 원형은 “홍익인간”이며, 무당이며, 화랑이었으며, 홍익인간은 단군신화 이후 오늘날까지 교육이념에 명문화되기까지 이상적인 한국인간의 전범으로 이해되고 있다.

고대사회의 대표적인 교육사상가로는 원광, 원효, 설총 등을 들 수 있다.

2. 중세의 교육사상

고려시대의 학교교육은 유교경전에 의지하였으며, 일반 민중들에게는 불교가 널리 유포되었다.

고려왕조는 유교로써, 치국을 꾀 하였으며, 정치제도도 이에 따라 과거제도를 추진하였다.

문신의 지위는 날로 높아지는 반면, 무신의 지위는 저하되어 결국, “숭문 경무”의 사상이 현저해졌다.

더욱이 인종 때, 국학이 설치되었던 무학재가 무과와 함께 폐지되어, 무신의 세력 신상에 타격을 주었으나, 정중부의 난의 계기로 문관이 심한 타격을 받게 되었으며, 그 뒤에 고려의 전반적인 무인 천하가 되었다.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는 대표적으로 최충, 안향, 이색, 정몽주 등이다.

 

3. 조선 전기의 교육사상

성리 사상과 교육이었으며, 성리학은 영남의 사림파의 선창자로서의 길재가 중심이 되었다.

길재와 조용 등이 국초에 성균 대사성으로 생로의 교육을 맡아서 왔었으며, 성리학은 선한 마음을 가지고 천부의 본성을 기른다는 존 양과 도리를 궁구함으로써, 지식을 확실히 한다는 궁리를 목표로 삼았다.

성리학자가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은 선비로서 성인이요, 손유요, 진유이었다.

조선 전기의 교육사상가로서, 이황은 개인의 심술을 개명하고, 기질을 변화시켜, 성현을 배우게 하는 교육목적으로 삼았다.

4. 조선 후기의 교육사상

조선 후기에는 실학으로서 특출한 교육사상가로서 이익을 들 수 있으며, 그는 숭례와 근검 사상을 강조하였으며,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될 수 있는 기준은 “예의”에 두었다.

그는 근검만이 윤택한 생활을 보장하며, 부지런하면, 재물이 생기고 검약하면, 궁하게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실학파의 박지원은 여성관의 중심으로 합리적인 사고의 한 과정을 보면, 여성에게만 지나치게 강요한 절렬 사상을 비판을 하였다.

조선 후기의 교육사상가로서 대표적인 인물은 유형원, 이익, 이식, 박지원, 정약용 등이었다.

 

5. 근대의 교육사상

19세기 말 우리나라는 민족사상으로서, 쇄국주의에서 벗어나 구미 제국과 수호 관계로 서양문물을 수입하여 신문명과 교육 형태나 교육내용에서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다.

1895년(고종 32) 2월 “교육입국”의 이상과 결심을 피력한 조서를 반포하였다.

내용은 교육은 실용을 취하며, 덕, 체, 지의 삼육에 있다고 하며, 학교를 강설하고,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 중흥의 전기를 확보할 것을 천명하였다.

19세기 말에는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은 기층민에 토대를 둔 무속신앙과 유, 불, 선의 3교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종교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애국적인 교육사상을 가진 이기는 국권회복이라는 교육 이념을 주장하였다.

특히, 민족의 사상이 자신의 교육 사상이었던, 안창호의 교육이념은 건전한 인격 함양, 애국정신의 민족운동가 양성, 실력을 갖춘 인재육성, 강한 체력의 훈련이었다.

6. 현대 교육사상

광복 후, 우리나라의 교육사상의 지표는 듀이의 민주주의였으며, 민족정신의 재발견과 도의 교육의 제창이었다.

1980년부터 국학 연구열과 계속적인 현대의 새로운 문화 창조와 교육철학의 정립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었다.

우리나라는 광복과 더불어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민주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삼아셨다.

이러한 교육은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의 봉사와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할 목적으로 하였다.

결국, 우리나라의 교육사상은 홍익인간의 이념, 교육철학 사상이 주도적이었으며, 새로운 교육철학사상을 시대별로 정립되어 변천되어 왔던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