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에 관하여!
고산 윤선도는 1587~1671년(선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시조작가로서, 본관은 해남, 호는 고산, 또는 해 옹이다.
그는 예빈시 부정을 지낸 유심의 아들이며,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유기의 양자이었으나, 서울에서 태어나서 8살에 큰 아버지에게 입양되어 해남에서 살았다.
그는 금서였던 “소학”을 보고, 감명을 받아 평생을 좌우명으로 삼았으며, 18살에 진사 초시에 합격하고, 20살에 승보 시 1등을 하고도 향기와 진사시에 합격을 했다.
1616년(광해군 8)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 박승종, 유희분 등 당시 집권세력의 죄상을 격렬하게 규탄하는 “병 진소”를 올려서 이이첨 일파의 모함으로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가 되었다.
이곳에서 “견회요” 5수와 “우후요” 1수 등을 지었으며, 1년 뒤에 경남 기장으로 유배지로 옮겼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이이첨 일파가 처형된 뒤 풀려나서 의금부도사로 제수되었으나, 3개월 만에 사직하고 해난으로 내려갔다.
1628년(인조 6) 별식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봉림대군, 인평대군의 사부가 되었으며, 공조 좌랑, 형조 정량, 한성부 서윤 등을 5년간 역임일 하였다.
163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정랑, 사헌부 지평 등을 지냈으나, 1634년 강석기 모함으로 산현 감으로 좌천된 뒤에 이듬해 파직이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이 항복하여 적과 화의를 한 것을 욕되게 생각하여 제주도로 가던 중에 보길도의 수려한 경치에 이끌려서 그곳에서 정착을 하였다.
그 곳에 정착한 일대를 “부용동”이라 하고 격자봉 아래 집을 지어서 “낙서재”라 하였으며, 조상이 물려준 재산으로 십이 정각, 세연정, 회수당, 석실 등을 지어놓고 마음껏 풍류를 즐겼다.
1638년 난이 평정된 뒤, 서울에 올라와서도 왕에게 문안드리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경북 영덕으로 귀양을 갔으나 풀려난 후에, 10년 동안 정치에 관계없이 보길도의 부용동과 금쇄동의 산수 자연 속에서 한가한 생활을 즐겼다.
이때 금쇄동의 배경으로 산중신곡, 고금영, 증 반금 등을 지었으며, 1651년(효종 2)에는 정신적 안정 속에서 보길도 배경으로 “어부사시사”를 지었다.
그 뒤 효종의 부름을 받아 예조참의가 되었으나 서인의 모략으로 사직하고 경기도 양주 고산에 은거를 하였다.
그는 이곳에서 마지막 작품은 “몽천요”였으며, 1657년 71세 동부승지의 벼슬에 올랐으나 송시열과 맞서다가 삭탈관직되었다.
그는 “시무 팔 조소”와 논 원두표 소“를 올려 왕권의 확립을 강력히 주장하였으며, 1659년 효종이 죽자 예론 문제로 서인파와 맞서다가 패하여 삼수에 유배되었다가 1667년 풀려나 부용동에 살다가 1671년 낙서재에서 85 새로 사망을 했다.
1